d라이브러리
"돛단배"(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의 ‘인터스텔라’ 계획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얇고 넓은 막에 두뇌 역할을 하는 칩을 붙인 ‘우주 돛단배’ 형태의 우주선, ‘나노크래프트’를 디자인했다. 약 1000개의 나노크래프트를 발사체에 실어 지구 밖으로 내보낸 뒤, 지구에서 발사한 레이저로 이들을 추진해 우주로 날려 보내는 계획이다. 속도는 광속의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700만t이나 사용됐지요. 건설 비용도 무려 120만 3000달러(약 13억 6000만 원)이나 들었어요. 돛단배 모양으로 유명한 건물, ‘부르즈 알 아랍’이 바로 이 인공섬 앞에 지어졌답니다.3 자원탐색해저 자원 찾아 삼만 리집을 짓거나 농사를 짓는 건 이미 우리 조상들부터 하고 있었는 걸. 좀더‘ 핫’한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얼마나 큰 걸까? 뭐? 겨우 2.4m? 지상의 거대망원경에 비해 너무 작은 거 아냐?우주의 ‘돛단배’, 제임스 웹(JWST)허블우주망원경은 지상이라면 소형에 속할 2.4m짜리 주경과, 겨우 13m에 불과한 자그마한 몸체를 갖고 있어요. 하지만 우주 나이를 알아내고, 130억 광년이나 떨어진 초기 우주를 관측했어요. ... ...
- [과학뉴스] 태양돛 올려 우주여행 떠나자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교실 면적과 비슷한 32m2로 넓어진다. 돛의 두께는 불과 0.5μm다.행성협회는 우주돛단배가 행성 간 이동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크기가 작고 별도의 에너지원이 필요 없는 데다, 이론적으로는 현재 사용되는 로켓보다 명왕성까지 더 빨리 도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사람이 여행에 ... ...
- [과학뉴스] 티라노 때려 눕힌 공룡, 사실은 수영 선수?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스피노사우루스의 거대한 등비늘은 물고기의 등지느러미처럼 수영에 쓴 것이 아니라 돛단배의 ‘돛’처럼 자신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표식”이라고 설명했다.이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익스프레스’ 9월 11일자에 실렸다 ...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솟아오른 감암리였다. 감암은 ‘감바위’라는 뜻이다. 실제로 큰 바위가 있어 그리로 돛단배가 드나들던 ‘감암포구’가 있었다고 윤 이사장이 넌지시 말했다. 하지만 강둑에 제방을 쌓고 매립을 해서 지금은 포구의 모습은 흔적도 찾아볼 수 없다.“철새? 철새는 끝났어.”이곳에서 우연히 만난 ... ...
- 더블 쓰나미가 일본 덮쳤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11m의 빠른 속도로 해안가로 밀려들었다. 자동차와 배가 함께 떠다녔다. 무너진 건물은 돛단배처럼 시내를 떠다녔고 콘크리트로 만든 건물도 앙상한 철근만 남고 사라졌다. 시내 곳곳에 바닷물이넘실거렸지만 지진해일(쓰나미)이 핥고 간 자리는 메말라 버렸다. 동일본 대지진으로 발생한 사망자 1만 ... ...
-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종이학이나 종이비행기를 타고 하늘을 나는 방법은 없을까. 종이배를 타고 크루즈 여행을 떠날 수는 없을까. 아직까지 종이로 접은 물건을 타고 하늘을 날았던 사람은 없지만, ... 계속 보시려면?[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인류는 언제부터 종이를 접었을까. 지금으로부터 약 1900년 전, 중국에서 종이가 탄생했던 그 시대부터 종이접기가 시작됐을 것이다. 쉽게 휘고 구겨지는 특성 덕분이다. 어쩌면 문맹이 흔했던 ...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 ...
- 금성 가는 ‘우주 돛단배’ 떴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