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선
배
돛배
뉴스
"
돛단배
"(으)로 총 1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항우연, 태양풍으로 움직이는 돛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항행하는 우주 범선에 적용할 수 있는 태양 돛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태양 돛은
돛단배
가 바람을 이용해 항해하는 것처럼 태양이 방출하는 광자를 돛에 반사시키는 원리로 우주선이 추진력을 얻어 별도의 연료 없이 장기간 우주 공간을 항행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항우연은 태양 돛 기술을 심우주 ... ...
태양빛 받아 항해하는 우주
돛단배
24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말아서 작은 패키지로 만들 수 있고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적다. 태양광 돛은
돛단배
가 바람을 잡기 위해 방향을 바꾸는 것처럼 돛의 각도를 조절하여 경로를 조정한다. 이번 우주 범선의 임무는 붐의 성능을 테스트하고 이후 더 큰 돛을 사용하는 임무를 위한 데이터 수집이다. 우주 범선은 몇 ... ...
인터스텔라의 꿈 실현할 '우주
돛단배
'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계획이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2010년 ‘이카로스’를 발사해 최초로 우주
돛단배
운행에 성공했다. 가로세로 14m 길이에 두께가 0.0075mm의 돛을 펼친 이카로스는 태양 복사압만으로 6개월 만에 금성 근처 궤도까지 이동했다. 이카로스는 지금은 동면 상태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 ... ...
태양풍으로 날아가는 '우주
돛단배
' 시험 비행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역시 우주
돛단배
를 연구 개발하고 있다. 최소 10년 안에 소행성을 탐사하기 위해 우주
돛단배
를 띄울 계획이라고 알려졌다. 스펜서 박사는 "계획대로라면 라이트세일 2호는 최소 한달, 가능하다면 1년동안 지구 궤도를 비행할 예정"이라며 "라이트세일 2호가 지나가는 모습을 지구상에서 ... ...
스페이스X '팰컨 헤비' 두번째 상업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날아오는 태양광 입자에서 동력을 얻어 우주를 ‘항해’하는 미국 행성협회의 우주
돛단배
‘라이트세일 2호’도 실험을 위해 우주로 발사됐다. 152명의 화장 유골을 실은 우주장 기업 ‘셀레스티스’의 16번째 우주장 위성도 탑재물에 포함됐다. 이번 발사는 국방부가 스페이스X의 로켓을 임무에 ... ...
“성간천체 ‘오무아무아’ 외계 인공물 아닐 가능성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미세하게 속도가 빨라지는 예상치 못한 현상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오무아무아가 마치
돛단배
처럼 태양풍을 받아 가속하는 외계 인공구조물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당시 연구팀은 “태양계는 우주에서 너무나 작은 천체인데 여기에 접근한 데에는 계획적인 의도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했지만, ... ...
공정률 60% 눈앞…“핵융합실용화 인류운명 가를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연구를 통해 얻은 플라즈마 기술은 태양풍으로 추진력을 얻는 우주선인 ‘우주
돛단배
’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정밀도 개선, 친환경 폐기물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있다. 이 차장은 “인류가 1000년 이후에도 지구에 생존할 수 있을지 여부는 에너지 문제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 ...
한국 학생들 꿈 담은 큐브위성 5기, 인도서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1.12
입자들이 돛에 부딪힐 때 가해지는 힘을 동력 삼아 우주를 항해하는 국내 첫 ’우주
돛단배
‘다. 연세대의 큐브위성 ‘톰앤제리(Tom&Jerry)’는 2대의 큐브위성을 우주 공간상에서 정렬시켜 우주 망원경 기술을 검증하는 데 활용된다. 항공대의 ‘KAUSAT-5’는 초소형 카메라를 활용해 지구 관측 임무를 ... ...
우표 만한 인공위성, 차세대 대세 될까
2016.06.03
추진력을 얻기 쉽다. 크기에 비해 표면적이 넓은 덕분에 우주에서 태양풍을 받아
돛단배
처럼 빠르게 날아가는 식이다. 칩샛의 속도는 이론적으로 광속(光速)의 5분의 1인 시속 1억6000만 ㎞에 달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가장 빠른 우주선으로 알파 켄타우리까지 1만8000년이 걸리지만 칩샛은 20년이면 ... ...
태양풍으로 가는 ‘우주
돛단배
’ 어디까지 왔나
2016.05.06
밝혔다. NASA는 태양에서 날아오는 양성자와 전자를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우주
돛단배
‘E 세일(Sail)’도 개발 중이다. 브루스 와이먼 NASA 마셜우주비행센터 수석연구원은 “길이 20㎞, 굵기 1㎜인 가늘고 긴 와이어 20개만으로 원형 돛을 만들 것”이라며 “현재 이 돛이 얼마나 많은 전기를 생산할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