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임"(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30000 vs. 52. 완전히 무너진 밸런스는 바로 백상아리와 인간이 평생 사용하는 치아의 개수입니다. 유치 20개, 영구치 32개로 100세 시대를 살아야 하는 인간과 달리, 상어는 평균 300개의 이빨을 갖고 있고 이빨이 뽑혀도 계속 다시 나 평생 수만 개의 이빨을 사용합니다. 부럽지 않을 수가 없죠. 그런데 최 ... ...
- [SF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지난 줄거리선과 미아는 함께 공립 도서관의 유리 부스 안으로 들어 간다. 유리 부스에는 과거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컴퓨터가 있다. 인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과거 데이터에 접속한 선은 우연히 마이클 잭슨을 찾아낸다. 둘이 함께 마이클 잭슨의 영상을 보다가 갑자기 정전이 되고 우나 ... ...
- 수학은 명탐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범죄를 수사할 때 범죄자의 거점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수사 대상 지역을 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사관들은 범죄가 발생한 장소에서부터 범죄자의 거주지나 회사 등 범죄자의 거점을 예측한다. 이처럼 범죄가 일어난 위치의 특징을 분석해 범죄자의 거점을 예측하는 수사 기법을 ‘지 ... ...
- 전략의 신 1. 최강 타순인지 알려주는 마르코프 연쇄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야구에서는 타순(타자의 순서)에 따라 타자의 역할이 다르다. 주로 1~2번 타자는 발이 빠르고 출루율이 높아 투수를 압박할 수 있어야 한다. 3~5번 타자는 홈런이나 2루타를 많이 치며, 득점권 상황에서 타점을 올려줄 수 있어야 한다. 7~9번 타자는 포수나 유격수처럼 타격보다는 수비에 더 강점을 가 ... ...
- [논문탐독] 유전질환 스위치 OFF 후성유전학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이 논문의 저자인 데이비드 A. 싱클레어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와 그 연구진은 시르투인원(Sirtuin1, SIRT1)이란 단백질을 연구합니다. 이들은 시르투인원의 활성을 높이면 세포의 노화를 늦춘다는 사실을 밝혔죠. 시르투인원은 손상 DNA를 복구하며, 세포 내의 에너지를 감지해 물질 대사 조절에서도 ... ...
- 전술의 신 3. 삼각형 패스 대형 짜기 생성나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경기를 주도하려면 패스를 이용해서 공 점유율을 높여야 한다. 따라서 패스를 잘할 수 있는 대형을 짜는 것이 중요한데, 데이비드 섬터 스웨덴 웁살라대학교 교수는 2016년 발간한 저서 에서 생성나무를 이용해 효과적인 대형을 짤 수 있다고 주장했다. 생성나무는 그래프 중 한 점에서 ...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2023년 1월, 영국 맨체스터대와 독일 막스플랑크전파천문학연구소 등의 천문학자들은 남반구의 비둘기자리에 있는 구상성단 NGC 1851에서 미세한 전파 신호를 포착했다. 초당 179회 이상 회전하는 밀리초 펄사 ‘PSR J0514−4002E’였다. 펄사는 엄청나게 빨리 회전하면서 전자기파를 뿜어내는 중성자별 ...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전국에 한파가 몰아쳤던 1월 24일, 강원도 정선에 위치한 예미랩 지상 오피스. 이곳에 맹추위도 막지 못한, 열정 넘치는 과학동아 독자들이 속속 모여들었다. 청량리에서 기차로 2시간 30분이나 걸리는 먼 장소였지만, 10명의 독자들은 각자의 방법으로 집합 시간보다도 훨씬 일찍 도착해 기다리고 ... ...
- 전략의 신 2. 고정관념 깨는 선수 기용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야구 경기에서 투수는 선발투수, 불펜투수, 마무리 투수 순서로 나온다. 보통 선발투수가 5~6이닝 동안 100구 내외로 던진다. 불펜투수들이 뒤이어 나와 8이닝 정도까지 던지고, 경기에서 이기고 있으면 마지막 1이닝은 마무리 투수가 나와 상대 팀이 점수를 내지 않게 틀어막아 경기를 마무리한다. ... ...
- [가상인터뷰] 인간과 유전체 93% 일치 붉은털원숭이 복제 성공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붉은털원숭이(Macaca mulatta)는 유전체가 인간과 약 93% 일치해 인간의 감염과 면역 연구를 위한 의학 및 생리학 분야에서 실험동물로 자주 등장한다. 이런 붉은털원숭이를 세계 최초로 성체 세포를 이용해 복제하고, 2년 넘게 생존시킨 연구가 화제다.1월 16일, 루 팔롱 중국과학원 유전학발생생물학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