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식물 속 미세플라스틱, 후손이 물려받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세대의 식물까지 전달된다는 게 밝혀졌어. 모든 식물에 적용되는 거야? 이번 연구는 모든 식물을 대상으로 한 건 아니고, 우리 완두만을 대상으로 했어. 우리가 식물의 대표로 실험에 참여한 거야. 완두는 사람과 동물의 중요한 식량 자원이자 독성 연구를 진행할 때 기준이 되는 ... ...
- 놀러갈 준비 2. 우주선 발사!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6호
- 날아가는 비결을 물었어요. 어수동 : 우주선은 어떻게 우주까지 날아가나요? 지구는 모든 물건을 지구의 중심으로 끌어당기지요. 로켓도 마찬가지예요. 쏘아 올린 로켓의 속력이 느리면 중간에 땅으로 떨어질 수 있으므로아주 빠른 속력으로 로켓을 날려야 해요. 지구가 잡아당기는 힘을 벗어나 먼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소셜 미디어가 지구를 뜨겁게 만든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속 디지털 생활 여러분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기기를 하루에 얼마나 다루나요? 세상의 모든 것들이 디지털화되면서 우리는 디지털 미디어가 없으면 살아가기 어려운 존재가 되었어요. 디지털 데이터가 종이책을 대체하는 모습을 보면서 디지털 미디어가 환경을 보호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 ...
- [특별한 수학] 부릉부릉! 달려라, 자동차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5호
- 빵빵~! 모두 반가워요! 저는 ‘부와앙’이에요.누구보다 빠르고, 남들과는 다른 자동차가 되길 꿈꾸지요.그래서 저는 최고의 자동차가 될 방법을 찾아 떠나보려고 해요.여러분도 함께 달려 보실래요? 어떤 자동차가 있을까? 자동차는 주로 10명 이하의 사람을 태우는 승용차, 11명 이상 태우는 승 ... ...
- [통합과학 교과서] 불면증에 걸린 공주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잠을 자고 꿈을 꿀 수 있는 건 사람뿐이라고 추정했어요. 하지만 연구를 통해 거의 모든 동물이 잠을 자고, 포유류와 조류 등 많은 동물이 사람처럼 렘수면과 비렘수면을 번갈아 겪는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문어가 사람과 비슷한 수면 패턴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 ...
- [찰칵! 전시회] 다무꺼 마트는 묶어서 계산해!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5호
- 이곳은 모든 물건을 척척 묶어서 파는 ‘다무꺼 마트’! 귀여운 강아지를 위한 사료도, 맛있는 생선과 과일, 채소도, 알록달록 예쁜 연필도 모두 묶어서 팔지요. 묶음 하나에는 과연 몇 개의 물건이 들어있을까요? 사료 한 묶음은 몇 개? 다무꺼 마트에서는 강아지의 뒷발 발가락 개수만큼씩 묶어서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가장 빠르고 똑똑한 로봇 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기록 차이는 불과 0.1초! 로봇 쥐가 복잡한 미로를 푸는 비결과 귀여운 햄스터에 대한 모든 정보가 담긴 영상을 함께 보러 가자. 비행기에 100mL가 넘는 액체류를 갖고 타면 안 되는 이유와 양치하고 입 안을 물로 꼭 헹궈야 하는지도 영상을 보면 전부 알 수 있어! ●가장 빠르고 똑똑한 로봇 쥐는 누구 ... ...
- [에디터 노트] 특이점과 빅뱅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부피는 0이고 밀도는 무한대인 태초의 특이점이 존재합니다. 이것이 ‘펑’ 폭발하며 모든 입자와 힘이 생겨났죠. 그런데, “한국 정치는 특이점에 도달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총선)에 출마하는 한 후보자가 과학동아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하더군요. 과학동아는 4월 10일 총선을 앞두고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기능까지 완벽한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정 교수팀은 2023년, 우리 몸을 이루는 모든 세포로 분화 가능한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치아 상피 세포와 치아 간엽세포로 분화시키고, 이를 이용해 치아의 구성 세포로 이뤄진 경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doi:10.1016/j.jare.2023.08.012 하지만 ... ...
- 방정식으로 외계인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밀접한 것부터 살아보지 않은 미래, 살면서 본 적 없는 외계인도 예측할 수 있다. 물론 모든 게 예측대로 흘러가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예측을 통해 미래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그에 맞는 대책을 세울 수 있다는 점에서 수학의 쓸모를 무시할 수 없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