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류"(으)로 총 2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서초, 역삼, 논현 등 6개 지역 하수관에서 한꺼번에 배출하는 빗물이 모두 반포천 상류에 모이는 것 또한 문제였다. 이에 예술의 전당 일대 빗물은 따로 분리해 반포천 중류에 내보내도록 ‘유역분리터널’을 2019년 우기(7~9월) 전까지 설치하겠다는 계획도 있었다.당연한 말이지만, 하수관로는 원래 ... ...
- 역사│인간의 숨결에서 향이 탄생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근대 향수의 아버지 자크 겔랑 이전까지는 천연 향료만을 사용해왔던 탓에 향수는 상류 귀족들만의 전유물이었다. 그러나 19세기 이후로 화학 지식과 기술이 발달하면서 합성향료가 생산되기 시작했다. 향수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졌다. 값싼 화학 원료인 에스터로 과일의 향을 낼 수도 있었다 ...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정확했다. 다온 행성 궤도에 떠 있는 다기능 위성은 장만이 보낸 신호에 따라 테네 강 상류 쪽에 빠르게 생성되는 비구름 양상을 포착했다. 장만은 덩치를 빠르게 부풀리는 먹구름을 보면서, 쌓여 있는 돌과 흙을 집어 몸에 싣고 미완성 상태인 둑 위로 기어갔다. 비록 불신의 벽을 넘지 못하고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연못 옆 동굴, 누가 깎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두타연에는 평소 보기 힘든 지형 3개가 한곳에 모여있습니다. 폭포와 연못, 동굴이죠. 상류에서 흐르던 넓은 하천이 급류가 되어 작은 폭포로 떨어져 연못을 이루는데, 바로 옆 절벽에 동굴이 있지요.그런데 이 동굴이 만들어진 과정이 수수께끼입니다. 일반적으로 동굴은 석회암 지대에서 지하의 ... ...
- [가상 인터뷰] 1급 멸종위기종 얼룩새코미꾸리의 산란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약 10~16cm이고 담황색 몸에 불규칙한 얼룩무늬가 있지. 얼룩새코미꾸리는 낙동강 중상류 지역에만 사는 우리나라의 고유종인데, 댐 건설과 수질 오염 등으로 숫자가 급격히 줄었어. 그래서 환경부는 얼룩새코미꾸리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해서 보호하고 있지. Q 얼룩새코미꾸리를 도와줄 ... ...
- [매스미디어] 정글크루즈 치유의 꽃잎을 찾아서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식물학자이자 식물탐험가인 릴리 박사 역시 배를 타고 전설이 숨 쉬는 아마존 깊은 상류로 파고든다. 그는 식물이 지닌 ‘치유의 힘’을 믿는다. 다윈이 발견한 것처럼 식물 역시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른 성장세를 보인다. 현실에서도 이를 연구하는 수학자들이 있다.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과거의 강줄기를 복원해냈다. 강물은 퇴적물과 함께 흐른다. 그래서 강이 흐른 자리엔 상류에서 이동한 자갈이나 모래 등 퇴적물이 강의 모양 따라 형성돼 있다. 황해 지역은 진흙, 진흙형 모래 등이 주를 이루는데 자갈이나 모래가 직선 형태로 발견된다면 과거 강이 흘렀다는 증거다. 보통 ...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km까지의 구간에서는 하상고도가 150m 정도 가파르게 하강한다. 해안에서 약 200km 떨어진 중상류 지점에서는 해수면과 하상고도의 차이가 50m 정도가 되는데, 이 사이에 중간중간 평탄면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충주 분지에서는 하상고도가 37~38m를 유지하며 평탄면을 이룬다. 여주-이천 분지에서는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미친다.겨울에 눈 녹은 물도 두 시나리오 모두에서 크게 줄 것으로 예측됐다. 남한강 상류나 달천 유역은 원래 유출량의 상당량이 눈이 녹은 물이었다. 하지만 기후변화가 진행되면 눈의 영향은 거의 사라질 것으로 예측됐다. 시나리오 대로라면 겨울철 눈 녹은 물의 양이 줄어들면서 한강 유역은 ... ...
- 한강, 그 흐름의 기록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절경으로 평가받는다. 화산활동이 일어났을 당시 한탄강을 따라 흐르던 용암이 임진강 상류 쪽으로 역류하면서 현무암층을 만들었고 화산활동이 끝난 후 강이 현무암을 깎아내 기하학적인 형태를 빚어냈다.북한강은 한강의 지류 중 가장 길이가 길다. 협곡이 많고 하천 유량이 풍부해 과거부터 댐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