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류"(으)로 총 2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2024시민과학 프로젝트 올해는 어떤 특별 탐사가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중류나 하류에선 보기 힘든 특별한 물고기들이 살고 있지요. 시민과학자들과 함께 상류에 어떤 물고기들이 살고 있는지 살펴 보고자 해요. 팀명 : 아르마딜리움(이디엘 연구원)_프로젝트 : 한국 육상 등각류와 친해지기아파트 화단이나 담벼락 밑에서 공벌레가 기어다니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 ...
- 아마존강 머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에네강을 형성한 뒤, 우카얄리강으로 흘러들어 대서양으로 빠져나가죠. 만타로강의 상류는 크게 세 개의 지류로 나뉩니다. 연구팀은 지도를 보며 각 지류가 시작되는 지점을 직접 거슬러 올라간 후, GPS를 장착한 카약을 타고 각 지류의 시작점에서 세 지류가 합류하는 지점까지 내려왔어요. 데이터 ... ...
- 아마존강 탐험대, 출격!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매우 희박해 두통과 메스꺼움을 동반한 고산병을 앓을 확률이 높죠. 그리고 아마존강 상류의 급류를 카약을 타고 헤쳐 나가려면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합니다. 제임스 콘토스 박사가 급류 구간을 안내하는 것도 그가 카약 선수이기 때문이죠. 아마존강 중류의 열대 우림으로 우거진 지역에는 ... ...
- [가상인터뷰] 한국 고유종 ‘미유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메기보다 몸이 가늘고 등지느러미가 작다는 게 특징이야. 또, 메기와 달리 미유기는 강의 상류에 많이 살지. 미유기는 보통 4~5월에 알을 낳는다고 알려졌어. 5월 22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외 공동 연구팀은 수온에 따른 알의 부화 과정을 비교 분석해 미유기 알이 부화하기 가장 적합한 온도를 ... ...
- [최신 이슈] 해결 못한 후쿠시마 오염수 의문들 AS 해드림!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관련된 실시간 데이터를 홈페이지에 공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희석용 해수 취수구와 상류 수조 방사선 모니터,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거친 오염수 이송펌프 출구에서 실시한 방사선 모니터, ALPS를 거친 오염수 이송관 유량, 희석용 해수 유량, 해수로 희석한 ALPS를 거친 오염수의 삼중수소 농도 ... ...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과학동아 l2023년 07호
- 2022년 7월엔 러브버그(계피우단털파리)가 주택가에 떼로 나타났다. 동양하루살이도 한강 상류 지역에서는 매해 5~6월이면 대발생을 겪는다. 어떤 곤충이냐가 달라지는 것이지, 곤충 대발생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곤충 대발생 양상은 대체로 비슷하다. 도시에서 쉽게 보지 못했던 곤충이 특정 ... ...
- [논문탐독] 녹조라떼, 머신러닝이 해결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0.02mg/L 이하로 유지해야합니다. 우선 이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줄여야 하는 의암호 상류 두 댐의 총인과 부유물질의 양을 머신러닝으로 시뮬레이션했습니다. 그 결과 소양강댐의 총인을 춘천댐보다 더 줄여야하고, 소양강댐의 부유물질은 총인보다도 더 줄여야한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 ...
- [커리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안성천의 생물다양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미칠까.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경기 남부를 가로질러 서해로 흐르는 ‘안성천’의 상류 지역에 있다. 공장에서는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고 내보낸다. 인근 지역 주민들은 반도체 공장이 나의 터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SK하이닉스는 안성천의 수질을 지속적으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개와 고양이, 강물 때문에 싸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주민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에필로그댐의 수문이 열리고 댐 상류의 물이 하류로 흘러갔어요. 개와 고양이가 건너야 하는 강의 수위도 점점 낮아졌지요. “꿀록 탐정님, 다시 헤엄을 쳐서 강을 건널 수 있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개가 들뜬 목소리로 말했어요. 고양이가 ... ...
- [특집] 깔따구 유충, 어디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8호
- “지난해 석동정수장으로 물을 끌어오는 낙동강 본포취수장에서 5km 떨어진 상류에 깔따구가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다는 환경부 보고서●가 나왔다”고 했어요. 이어 “보고서에 따르면 대형저서생물 중 무려 69.9%가 4급 지표종인 깔따구로, 이는 낙동강 바닥엔 깔따구가 상당하다는 뜻”이라며,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