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썰물"(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내일 달의 모습은? 매일매일 오늘의 달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있으면 보름달로 보이죠.예전에는 달 시계가 중요하게 쓰였어요. 예를 들어, 밀물과 썰물의 세기는 달의 위상에 따라 달라져요. 그래서 항해사들은 암초를 피하려면 달의 모습을 필수적으로 알고 있어야 했죠. 그뿐만 아니라 음력을 사용하는 문화권에서는 달 시계를 사용하여 날짜를 셀 수 있었죠 ... ...
- [기획] 세계자연유산 된 갯벌! 직접 다녀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복잡한 해안을 이뤘지요. 우 교수는 “서해는 수심이 얕고 해안 경사는 완만한데,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최대 6~9m까지 크게 나서 갯벌이 형성되기에 세계에서 손꼽힐 만큼 좋은 조건“이라고 하셨어요. ●인터뷰우경식(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전공 교수)최선하(람사르고창갯벌센터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바다의 경계선에 사는 맹그로브는 평소 물속에 잠겨 있다가, 한 달에 한 번 정도 큰 썰물로 물이 빠지면 뿌리를 드러내요. 그런데 맹그로브에 가까이 다가가면 고약한 냄새에 깜짝 놀랄 수 있어요. 냄새의 정체는 바로 육지의 유기물이에요. 육지의 유기물들이 빗물에 쓸려 바다로 유입되기 전에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아슬아슬 서낭바위를 조각한 주인공은 파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공격하면 해변의 암석도 깎이는데, 이를 ‘파랑● 침식’이라 불러요. 제가 갔을 때는 썰물이라 발이 젖지 않고도 바위 주변을 거닐 수 있었지만, 밀물이면 서낭바위를 둘러쌀 정도로 바닷물이 깊숙이 들어오기도 하지요.파도의 세기는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아요. 우리나라는 바람이 강하게 부는 ... ...
- [기획] 최장거리 비행 기록을 갈아치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긴 부리의 촉각으로 진흙 속에서도 쉽게 먹이를 찾는다. 먹이갯벌이 드러나는 썰물 때 진흙을 파헤쳐 먹이를 먹는다. 주로 갯지렁이류를 좋아하며, 이외에 조개나 갑각류도 먹는다.깃털평소에는 갯벌과 비슷한 위장색의 깃털을 가지고 있지만, 번식기인 여름이 다가오면 붉은색으로 깃털 갈이를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육지와 바다 사이에 작은 모래나 진흙이 광활히 쌓여 펼쳐진 곳이에요. 밀물에 잠기고, 썰물 때 모습을 드러내지요. 서해안과 남해안에 잘 발달했어요. 갯벌엔 게나 조개, 새우, 갯지렁이 등 다양한 생물이 살아요. 또, 겨울을 나기 위해 세계를 여행하는 도요새류나 물떼새류 같은 철새들이 중간중간 ... ...
- [기획] 도요새의 여행을 쫓아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들려줄게! 4월 중순의 충남 서천 갯벌은 수많은 물새의 울음소리로 북적입니다. 썰물로 드러난 갯벌 여기저기서 긴 부리를 갯벌에 박고 각자 좋아하는 먹이를 찾느라 여념이 없죠. 이들은 ‘나그네새’로, 여름을 보낼 번식지로 가는 도중 40일 정도 한국에 들러 영양을 보충하는 중입니다. ... ...
- [특집] 인터뷰. 윤승철 탐험가가 밝히는 무인도에서 살아남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낙지를 잡아먹어요. 새벽녘에 갯벌로 나가보면, 밀물 때 갯벌까지 들어왔다가 썰물 때 미처 나가지 못하고 남아있는 낙지들이 많답니다. 또 바위에 붙어있는 따개비나 고동, 석화를 떼어먹기도 하죠. [어수동] 무인도에서 집 짓는 데 얼마나 걸리나요?보통 TV프로그램에 나오는 것처럼 제대로 된 ... ...
-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맹그로브 관찰에 나섰다. 맹그로브는 평소 바다에 잠겨 있다가 한 달에 한 번 정도 큰 썰물 때는 밑부분을 드러내는데, 육지와 바다의 경계선에 늘어서 자란다. “맹그로브에 너무 가까이 가면 썩은 냄새가 날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맹그로브를 더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 다가가는 학생들에게 박 ... ...
- 포항이 본래 불안정했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영향을 계산한 결과 200~500Pa(파스칼)정도로 나왔어요. 이는 매일 지구의 조석 운동(밀물과 썰물)에 의해 미치는 힘의 변화량과 비슷한 수준이죠. 물을 주입하면서 생긴 작은 지진들이 진원 근처에 준 수압 변화는 2만~15만Pa 정도이니 최소 수십 배 큰 것이지요. Q앞으로 더 밝혀야 할 점이 있나요?사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