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낙조
석양
날물
퇴조
간조
d라이브러리
"
썰물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시간이라면 큰 위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육지로 밀려오는 파도 에너지와 바다로 빠지는
썰물
의 에너지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밀물 때는 두 에너지가 겹쳐지면서 파도가 더 강해진다. 충남 보령의 기상 쓰나미는 두 가지 기상 현상이 겹쳐서 만들어진 불행한 사건인 셈이다. 기상 쓰나미 역시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멀어지는 힘을 받는다. 바닷물이 이 힘을 받아 움직이면서 생기는 현상이 밀물과
썰물
이다.지구에서야 평범한 일로 보일지 몰라도, 중력이 매우 강한 천체에서는 색다른 일이 벌어진다. 한 천체 주위를 돌고 있는 우주선을 생각해 보자.우주선은 중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는 궤도를 돈다. 그런데 ... ...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다양한 데는 하구둑이 없는 덕이 크다. 주 연구원은 “양쯔강 하구에는 둑이 없어 밀물·
썰물
에 따라 담수와 해수가 자연스럽게 섞이기 때문에 민물 생물과 바다 생물이 함께 살 수 있다”고 설명했다.새는 보지 못하고 새 소리만 들어 잔뜩 약이 오른 관광객을 위한 배려일까. 갈대숲 안쪽에는 ... ...
갯벌 지킴이, 넓적부리도요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0호
매우 커 갯벌이 만들어지기 좋다. 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이 리아스식 해안이다.갯벌
썰물
때 드러나는 넓고 평평한 땅. 오랫동안 퇴적물이 쌓여 철새먹이가 풍부하다.만골짜기였던 지형이 가라앉으면 파인 부분에 물이 들어와 만이 형성된다.방조제밀물을 막는 제방. 갯벌을 매립해 다른 용도로 ... ...
별이 빛나는 사량도 천문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잡자!사량도천문대 앞바다는 바로 부두가 있어서 깊은 편이야. 하지만 물이 쫙 빠지는
썰물
때는 작은 게를 잡거나 조개를 캘 수 있을 정도로 자갈밭이 드러난단다. 이 때는 돌에 달라붙은 굴과 조개를 캘 수도 있고, 돌 밑에 숨은 게도 잡을 수 있지. 어떤 간 큰 게는 천문대가 있는 학교 안으로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지형을 지닌 것은 4대강 가운데 하구 둑이 없는 유일한 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밀물과
썰물
에 따라 바닷물이 자유롭게 들고 난다. 이런 특징은 다른 4대강 하구와 달리 한강하구에 대단히 역동적인 물 흐름을 갖게 했다. 이런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조금 더 하류로 이동했다.“여기는 ... ...
홍합으로 망가진 뼈 살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검은색 빛을 내며 반짝이죠. 속살이 붉어서 홍합이랍니다. 밀물 때는 바닷물에 잠겼다가
썰물
때는 물 밖으로 드러날 수 있는 연안에서부터 수심이 20m쯤 되는 곳까지 살 수 있어요. 사람들은 달콤하고 향긋한 우리를 끓여먹는 걸 좋아해요과학자들도 너희를 좋아한다고?바위에 단단하게 붙어 있는 ... ...
상어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몸길이 1.5m의 어린 백상아리가 잡힌 적이 있고, 2009년 8월 인천 을왕리 해수욕장 근처에서
썰물
을 따라 나가지 못한 5m 길이의 백상아리가 사망 직전에 산채로 발견됐다.세계적으로 상어의 공격은 백상아리가 가장 많다. 영화 ‘죠스’의 주인공인 백상아리는 바다의 폭군이다. 세계에서 백상아리에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별이 파괴되는 것이 블랙홀의 강한 조석력(지구에서는 달의 조석력 때문에 밀물과
썰물
이 나타난다) 때문이라고 해서 조석파괴라는 이름이 붙었다.지난 40여 년 동안 이론적으로 예측됐던 조석파괴 현상이 2011년 3월 28일 드디어 관측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스위프트 위성이 이 순간을 최초로 ... ...
1박 2일 백령도의 보물을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정도였던 점박이 물범은 이제 168마리(2009년기준)밖에 남지 않았다고 해. 점박이물범은
썰물
때면 바위가 드러나는 두무진의 물범바위에서 주로 머문단다. 가마우지‘바다의 까마귀’라 불리는 가마우지를 두무진에서 만났어. 새끼가 머리를 어미 입으로 깊숙이 집어넣어 먹이를 꺼내 먹는 독특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