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무 못
끼움쇠
못
바퀴굄
받침나무
마개
브레이크
d라이브러리
"
쐐기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사례입니다. ‘플림톤 322’라는 이름이 붙은 점토판에는 각각 15줄씩 4단락으로 나뉘어
쐐기
문자가 적혀 있는데 학자들은 이를 60진법의 자연수라고 해석했습니다. 특히 1940년대에는 이 점토판에서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을 낀 두 변의 제곱의 합은 빗변의 제곱과 같다’는 ‘피타고라스의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여기에 삼성전자가 갤럭시 S10과 S10플러스에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센서를 채택하며
쐐기
를 박았다. 바야흐로 지문인식 센서의 홈버튼 시대는 가고 디스플레이시대가 왔다.삼성은 초음파식 지문센서 채택제조사마다 채택한 디스플레이 지문 센서의 원리는 다르다. 샤오미의 ‘미8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플림톤 322’에도 피타고라스의 세 수가 기록돼 있습니다. 바빌로니아인들은 점토판에
쐐기
모양으로 설형문자를 새겨 기록을 남겼습니다. 숫자는 60진법으로 표기했지요. 플림톤 322에도 60진법으로 기록한 숫자가 줄지어 나타나 있는데요, 처음에는 여기 적힌 숫자의 의미를 전혀 몰랐습니다. ... ...
Part 4.독자가 찾은 9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하죠. 2, 황희찬 선수의 등번호는 9! - 행복하다 독자아시안게임 결승전에서 한일전
쐐기
골의 주인공인 황희찬 선수의 등번호가 9입니다! 값진 땀을 흘리며 끝까지 달리던 선수들의 모습이 정말 감동적이었어요.1928년부터 축구 선수 옷에 번호를 매기기 시작했어요. 포지션마다 1부터 11까지 수 중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의 방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소리가
쐐기
의 안쪽을 향하도록 설계되어 있지요. 반사가 반복될수록 소리는 점차
쐐기
의 깊은 곳으로 들어가다가 결국 벽에 모두 흡수된답니다. 일반적인 공간에서는 물체가 내는 소리와 벽에서 반사되는 소리가 섞여요. 하지만 무향실에서는 반사되는 소리가 없기 때문에 물체가 내는 소리를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첨성대, 불국사, 석가탑 등에 큰 지진 이후의 수리 기록이나 흔적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쐐기
모양의 블록들을 궁형(아치형)으로 쌓아 건축한 다리나 대문이 하강한 것도 지진의 여파로 볼 수 있다. 최근에는 8세기에 넘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경주 남산의 마애여래입상을 통해 779년 경주에 발생한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털의 단면을 자세히 살펴보라고 오 교수가 조언했다. 40배율로 살펴보니 보호털 특유의
쐐기
모양 단면이 눈에 들어왔다. 덕분에 네 가지 털을 구분할 수 있게 됐지만 현미경에 눈을 대고, 양손에 든 핀셋으로 털을 골라내는 것이 역시 쉽지 않았다. 마지막 관문은 온전한 털을 구분하는 것이었다. ...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1000년 전에 이미 피타고라스 수를 알고 있었다. 플림프톤322에는 60진법으로 나타낸
쐐기
문자가 4열 15행으로 나란히 새겨져 있다. 60진법을 10진법으로 고치면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맞는 수가 된다. 15쌍의 피타고라스 수를 새겨 놓은 것이다.[플림프톤322★ 미국 컬럼비아 대학 플림프톤 소장품 32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여러 나라 숫자로 수학시계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더하고 왼쪽 수는 뺀다’는 규칙을 따른다. 예를 들어, 6은 VI으로 4는 IV로 쓴다.점토판에
쐐기
의 끝을 비스듬히 자른 첨필로 새겼다. 두 가지 기호로 자리에 따라 수의 크기가 달라지는 ‘위치적 기수법’과 60진법을 사용했다.마야 문명의 수학과 과학은 아주 높은 수준이었다. 가장 큰 업적은 큰 ... ...
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사용했지만, 19세기 초반 발견된 약 500개의 바빌로니아 점토판에는 60진법을 나타내는
쐐기
문자가 새겨져 있는 게 대부분이다.왜 바빌로니아인은 복잡한 60진법을 사용했을까? 확실히 밝혀진 이유는 없다. 학자들은 여러 가지 추측만 내놓을 뿐이다. 60의 인수★가 많아 셈하기가 편했을 것이라는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