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무 못
끼움쇠
못
바퀴굄
받침나무
마개
브레이크
d라이브러리
"
쐐기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호를 알면 도서관 책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자료를 분류하는 다양한 방법이 등장했다. 기원전 7세기 고대 아시리아의 도서관에서는
쐐기
문자로 새겨진 점토판을 하늘에 관한 내용과 땅에 관한 내용으로 나눈 다음, 문법과 역사, 법률 등 10개의 작은 분류로 나눠 보관했다. 고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서는 두루마리로 된 파피루스 ... ...
달라붙는 속옷이 몸에 좋은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쐐기
풀로 옷을 짜서 거위에게 던지면 멋진 왕자님으로 살아난다는 동화를 떠올려보자.
쐐기
풀은 가늘고 긴 섬유 집합체이다. 이를 이용하면 스마트하게 환경의 온도, 습도에 따라 고분자 구조를 열고 닫게 만들 수도 있고, 자체 발열도 가능한 구조로 합성할 수도 있으며 신축성을 조절할 수도 있다.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과장하게 된다. 나이팅게일은 파르의 도표가 갖는 문제점을 간파해 선의 길이가 아닌
쐐기
의 면적으로 사망자 수를 나타낸 새로운 그림을 그린 것이다.통계와 도표로 영국을 개선하다나이팅게일은 크림전쟁이 끝나자 영국으로 돌아왔다. 나이팅게일은 전쟁터뿐만 아니라 영국 본토도 열악한 ... ...
수학을 쓰려거든 연필로 쓰세요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연필계의 종결자는 정육각형최초의 연필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점토판에 새겨진
쐐기
문자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기원전 3000년경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뾰족한 물건을 이용해 점토판에 기록을 남겼다. 이때 갈대나 나뭇가지 끝을 다듬어 만든 것을 최초의 연필로 볼 수 있다. 요즘처럼 흑연을 ... ...
야옹이 구출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2호
많은 내가 할 순 없잖니~.”아치로 돌을 쌓아라! 아치 다리의 비밀은 힘의 분산!아치는
쐐기
모양의 돌이나 정육면체의 돌을 여러 개 맞대어 곡선 모양으로 쌓아올린 구조다. 아치 구조에서는 위에서 누르는 힘이 양 옆의 맞닿는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나누어진다. 그 결과 다리가 무게를 더욱 잘 버틸 ... ...
비타민C로 만든 전기 맛 한번 보실래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개발한 경험이 있다. 개미산은 개미와 벌 등의 체내에 있는 지방산의 한 종류로 복숭아나
쐐기
풀 같은 식물에도 들어 있다. 신맛을 내는 특성 때문에 식품첨가물로도 사용된다. 광주과학기술원으로 자리를 옮긴 이 교수는 백금 사용량을 기존보다 5분의 1로 줄이면서 수명은 3배 늘어난 연료전지를 ... ...
숫자 7과 함께하는 일주일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7분의 첫 골, 후반 7분 등번호 7번 박지성 선수의
쐐기
골. 2010 남아공 월드컵 그리스와의 첫 경기는 행운의 수 7로 가득했다. 7은 사람을 행복하게 만드는 능력을 지녔다. 기분 좋은 숫자 7과 일주일을 함께 보내는 건 어떨까? 날마다 새로운 7의 매력에 푹 빠질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입는가 하면, 사 막도 없는데 아랍인들처럼 흰옷을 입는다. 겉옷은 거미줄만큼이나 연한
쐐기
풀 섬유로 짠 두루마기 를 입는다. 남자들은 말총이나 대나무로 된 아주 불 편한 망건 속에 상투를 밀어 넣으며 그 위에 값비싼 말총이나 대나무로 된 갓을 쓴다. 부녀자들은 주체 하기 힘들 정도로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휴지기 상태(resting state) 또는 내정된 상태(default mode)라고 부른다.이때 활성화되는 부위는
쐐기
전소엽, 후대상회, 내측전전두엽과 일부 내측측두엽을 포함한다. 이 부분들은 서로 기능적으로 연결돼 있어 일부 학자들은 이를 ‘내정 상태 회로(default mode network)’라 부르기도 한다.과학자들은 이 ... ...
Part 3. 남녀 모두 수학이 맛있어지는 양념 공부법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세 번째 자리는 360으로 한 거지.이집트 사람이 썼던 그림 숫자나 바빌로니아 사람의
쐐기
모양 숫자도 금방 배울 수 있어. 수를 표현하려는 같은 목적을 두고 각 나라 사람이 다양한 방법을 쓴다는 게 신기하지. 수학의 역사는 수학이 얼마나 다양한 학문인지를 가르쳐 주고 있어. 수학 문제를 빠르게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