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궁이"(으)로 총 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닷물로 농사를 짓겠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0호
- 말한다.“바닷물은 그냥 마실 수 없어요. 하지만…. 잠시 불을 빌리겠습니다.”갑자기 아궁이에 불을 피우고 그 위 에 바닷물을 담은 주전자를 올리는 닥터고글.잠시 후 물이 끓어 증발하면서 그릇에는 소금 알갱이가생기기 시작한다. 그리고 증발한 수증기는 찬물이 흐르는 관을 통과하면서 식어 ... ...
- 고기 먹고 체하면 능이, 감기엔 표고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알려져 있는 큰갓버섯은 예부터 버섯을 잘게 찢어 소금을 뿌린 다음 호박잎에 싸서 아궁이 장작불에 구어 먹었는데, 그 맛이 일품이다.늦여름에서 가을까지 나는 기와버섯은 갓 표면에 짙은 청색과 옅은 청색이 마치 깨진 기왓장이 흩어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갓의 육질이 두껍고 단단하며 맛 또한 ... ...
- 자전거 만드는 핵물리학자과학동아 l2008년 09호
- 집에 돌아와서도 대장장이 흉내를 냈다. 할아버지의 연장통에서 못을 꺼내 부뚜막 아궁이에 넣어 달군 뒤 두드려서 칼을 만들었다. 친구들에게 인기 만점이었다. 문제는 쇠를 이용해 장난감을 만들다 보니 손에 상처가 끊이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날카로운 칼에 찔리거나 베이는 것은 보통이고 불에 ... ...
- 지혜 담긴 집 한옥과학동아 l2008년 02호
- 핵심에는 복사열을 이용한 온돌이 있다. 온돌은 방바닥 밑에 넓고 편평한 돌을 놓아 아궁이에 불을 지필 때 생긴 열기가 방안 가득 퍼지도록 만든 난방장치로 공기회전률과 열전도율이 우수하다. 공기는 데워지면 부피가 팽창하며 상승한다. 이때 열원(熱源)이 바닥일 경우 바닥에서 천장까지 더운 ... ...
- 돌보기를 황금같이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6호
- 조상님께 서 암석을 어떻게 이용하셨는지 한번 찾아볼까?성벽, 다리, 주춧돌, 비석, 석상, 아궁이열과 화학변화에 강한 화강암맷돌, 돌담단단하고 꺼끌꺼끌한 현무암온돌얇은 판으로 쪼개지는 점판암 또는 화강암돌도끼날카로운 흑요석화살촉뾰족하고 매끈한 각암 내가 쓰는 암석관찰표돌돌아, ... ...
- 휘어져도 부러지지 않는 유연한 집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09호
- 습기가 많아지면 물기를 빨아들입니다. 반대로 건조해질 때는 물기를 뿜어 내지요. 아궁이에서 너무 센 불을 때 방안의 공기가 건조해지면 갖고 있던 물기를 내뿜고, 방안에 습기가 너무 많아지면 흙으로 만든 벽이 물기를 빨아들이면서 습도를 조절한답니다. 또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교체해 줘야 ... ...
- 추운 계절에는 온돌방이 최고야!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22호
- 개발되었어요. 온돌의 원리는 열의 전도와 복사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입니다. 아궁이에서 나무를 때 방바닥 밑의 구들장을 달궈 줍니다. 구들장은 열을 서서히 전도해 주는 돌인 운모로 만들어서 갑자기 방이 뜨거워는 것을 막아 주지요. 적당히 달궈진 구들장은 저장한 열을 바로 위의 방바닥을 ...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어부들은 인심마저 후해진다. 전어는 비늘도 긁지 않은 채 통소금에 1시간 정도 절였다가 아궁이 불에 석회를 얹어 구우면 기름이 지글지글 흘러나오면서 먹음직스런 냄새가 온동네에 가득 찬다. 전북 부안에는 “전어 굽는 냄새에 집나간 메누라가 돌아온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그런데 ... ...
- 천년왕국 신라는 숯으로 망했다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추구한다. 고급 숯은 연기가 나지 않고 열량이 높아 화로라는 난방기구에 제격이며 집의 아궁이와 벽을 그을리지 않아 밥 짓는 연료로도 그만이다.이와 관련해 삼국사기에 기록이 있다. 신라 49대 헌강왕은 어느 날 신하들과 월상루라는 망루에 올라 사방을 둘러보면서 시중 민공에게 “내가 듣건대 ...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과학동아 l2002년 01호
- 가장 중요한 일로 여겨졌다. 우리나라에서도 며느리의 임무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아궁이의 불씨를 지키는 일이었고, 화약이 없던 시절에는 배에서 사용할 불씨를 지키는 것이 주방장의 첫번째 임무였다. 우리나라의 배에도 ‘화장’이라고 해서 불씨를 지키는 임무를 가진 선원이 있었으며, 일부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