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궁이"(으)로 총 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블랙홀은 온돌에서 땔감 때우는 아궁이과학동아 l2001년 10호
- 블랙홀이 ‘아궁이’이라면, 블랙홀에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은 땔감을 아궁이에서 태워 서서히 방을 달구는 ‘온돌’에 비유될 수 있다는 얘기다.또한 블랙홀의 회전축방향으로 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을 승무(僧舞)에 비유해 ‘승무 프로세스(Process)’라 명명했다. 비록 머리에 쓰고 채를 ...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과학동아 l2001년 01호
- 공기가 따뜻하고 위 공기가 차다. 건강에도 좋은 난방법인 것이다.현재는 시골에나 가야 아궁이나 굴뚝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집안의 난방법이 바뀌었다. 그러나 방법은 바뀌었어도 아직까지 우리는 바닥 난방을 유지하고 있다. 고래가 파이프로, 고래 속을 지나던 뜨거운 공기가 보일러에서 데워지는 ... ...
- Ⅱ. 황금비가 구현된 무량수전과학동아 l1999년 05호
- 마침내는 굴뚝을 통해 밖으로 나가게 하기 위해서는 고래의 경사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아궁이 및 굴뚝과의 연결 부위에 세심한 고려를 해야 한다.온돌이 우리나라의 기후에 적합한 것은 단지 겨울의 추위를 이겨내기 위한 것만은 아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에 장마철이 있기 때문에 습기를 ...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과학동아 l1998년 12호
- 재촉했다. 또 쌀쌀한 초겨울 바람에 몸을 움츠릴 때 다가오는 집안의 불빛은 부엌 아궁이에서 지피는 땔감의 온 기를 실어와 우리의 몸과 마음을 녹인다.근래에는 주방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부엌이라고 하면 생소하게 느낄 수도 있지만 부엌이라고 하면 생소하게 느낄 수도 ... ...
- 농경문화가 변모시킨 국토의 얼굴 소나무 숲과학동아 l1998년 02호
- 지력 유지가 선결과제였다. 경작지의 지력 유지 수단으로써 사람의 배설물, 온돌 아궁이의 재, 인가 부근의 야산에서 채취한 풀이나 활엽수의 잎을 베어내 썩혀서 만든 퇴비 등이 사용됐다.그러나 사람과 가축의 배설물이나 유기물을 태워서 만든 재는 그 양이 얼마 되지 않기 때문에 경작지에 ... ...
- 집과학동아 l1995년 05호
- 까지 그대로 축조돼 왔다.그러나 이러한 ㄱ자형 구들이 방바닥 전체를 구들고래로 깔고 아궁이를 방 밖에 만든 온돌구조로 바뀐 것은 13세기 이전으로 보인다. 이 온돌 난방법은 세계에서 우리나라만 갖고 있는 독특한 난방법이다. 이와 유사한 '캉'이라 부르는 난방법이 중국에도 있지만, 온돌처럼 ... ...
- 쓰레기 재생의 과학과학동아 l1994년 09호
- 그 후로는 기름이, 또 다시 이후로는 가스가 난방용으로 보급되면서 이제 연탄은 가정의 아궁이에서 점차 사라지고 있다.그러나 도시의 달동네나 농어촌에서는 아직도 연탄을 사용하는 가정이 적지 않다. 이러한 연탄은 처음 불을 붙일 때 30분 이상 시간이 걸려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 이때 손쉽게 ... ...
- 테마에세이/인간과 환경⑤ 쓰레기과학동아 l1992년 05호
-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선사시대의 집터에서 나온 조개껍질이나 동물의 뼈, 흙아궁이속의 탄화미(炭化米) 한 알조차도 그곳에 살던 사람들의 문화와 생활을 추측케 하는 증거물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옛 사람들의 쓰레기는 아예 금귀걸이 못지않은 귀중한 보물로 취급된다.우리가 매일 버리는 ... ...
- 고려청자와 비색(翡色)과학동아 l1990년 06호
- 올라가는 가마에 그릇을 넣고 아궁이에 불을 지펴 열이 일정하게 오르게 했다. 그 다음에 아궁이를 막아 환원불꽃이 되게 불을 조절하는 방법을 쓴 것이다.그 제조법을 두 단계로 나눠 간략하게 알아보자. 먼저 고도로 정선된 태토(胎土)에, 나무나 풀을 태운 재를 주원료로 하고 장석(長石)이나 석영 ... ...
- 산업혁명의 숨은 주인공 산·알칼리 공업과학동아 l1987년 07호
- 빨래를 하기 위해서 알칼리성 용액을 만들었다. 떡시루 안에 삼베 천을 깔고 그 위에 아궁이에서 꺼낸 재를 붓는다. 그리고 수시로 물을 부어 재를 우려낸다. 이 때 떡시루에서 갈색을 띤 물이 흘러 나오고, 이를 모아두었다가 빨래를 할 때 쓴다. 이 갈색의 물을 재로부터 나왔다 하여 '잿물'이라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