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토
강토
국토
대지
영수
영역
d라이브러리
"
영해
"(으)로 총 22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국내의 동해연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장기적인 동해관측으로는 수산과학원이
영해
에 대해 2달마다 실시하는 정기관측이 있고, 서울대 해양연구소, 전국대학 해양과학공동연구소, 정부가 지원하는 해양연구원이 추진했던 부정기적 동해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불행히도 국내에서는 아직껏 미 ... ...
① 고효율·무공해 두마리 토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요하는 휴대폰 배터리는 한달 간 지속되는 연료전지 배터리로 바꾸면 된다. 또 우리의
영해
는 연료전지 잠수함에 의해 수호된다. 상상만으로도 즐겁고 뿌듯하지 않은가.물의 전기분해 원리를 역이용한다연료전지의 원리를 따져보기 전에 전기의 발생원리부터 차근차근 생각해보자. 생활에 필요한 ... ...
우리 역사 속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장려해 증기선을 만들고 위력적인 대포를 제작하게 됐다. 그들 근대식 군함이 조선
영해
를 침범했을 때, 인력과 풍력에 의존했던 우리나라의 범선은 그들의 적수가 되지 못해 급기야 강제개항이라는 국치를 당하게 됐다.해방 이후 우리는 조선업 분야에 괄목한 발전을 이룩해 세계 2위의 선박 ... ...
몸을 던지는 환경파수꾼 그린피스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유감스럽게도 프랑스와 중국은 여기에 서명하지 않았다. 또 핵실험을 하게 되면 당시
영해
로 인정하던 12마일 밖까지 바다를 오염시키기 마련인데, 그것은 분명 국제법 위반이다. 그러니 그린피스로서는 이를 두고볼 수만 없었다.모루로아 핵실험을 막기 위해 나선 사람은 뉴질랜드에 살던 캐나다 ... ...
군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상황까지 벌어지고 있다.따라서 이러한 세계적 조류에 부합하기 위해 각국은 자국의
영해
와 해상교통로를 보호하는 자위적 군사활동뿐만 아니라 유엔평화유지군 참여와 같은 군사외교활동을 펼쳐 자국의 이익을 최대한도로 추구하려 하고 있다. 결국 이를 위해 세계 각국은 자국의 지리적 여건, ... ...
테마에세이/환경과 인간⑦ 바다 쓰레기로 해양생물 몸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하지만 기름과 독성물질 부분의 협약에만 가입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외국 선박이
영해
인 12해리(약 22.3km) 내에서 쓰레기를 버려도 협약대로 규제할 수가 없다.물론 법이 만능의 칼은 아니다. 플라스틱병 한개를 버리는데 징역 10년씩의 혹독한 벌칙을 가할 수도 없는 일이고, 법의 힘이 아무리 ... ...
온누리호 돛을 달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들면 우리나라 동해의 연구만 하더라도 일본은 수십년의 장기 계획하에 동해의 그들
영해
에 대해 그물망처럼 조밀하고 체계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여기서 얻은 해양자료를 바탕으로 각 분야에서 혹은 통합적으로 꾸준히 연구를 거듭하여 그들 영역에 관한한 깊은 연구결과가 도출된 상태에 있다.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위원회)의 권고안을 철저히 준수하는 솔선수범을 보여야 마땅하다. 위성은 자국 영토나
영해
내에서 발사하지만 궤도진입은 영공이 아닌 공해상의 하늘에 위치하므로 이를 악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특히 전력소모가 큰 방송위성(DBS, Direct Broadcasting Satellite)은 자국영토에서 서쪽으로 멀어질수록 ... ...
동쪽 끝에 우뚝 솟은 화산섬 독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있다.일본에서 독도를 마치 자기땅인 것처럼 주장하는 이유는 2백해리에 달하는
영해
인정 때문이다. 그러나 2차대전 직후 일본의 항복문서가 인정한 포츠담선언과 연합군 최고사령부 훈령 제677호에 의해 독도는 울릉도와 함께 우리의 영토로 확인된 바 있다. 그후 수차에 걸친 일본측의 외교분쟁화 ... ...
3천미터 심해탐사선을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우리나라의 국토중 경작 가능면적은 3만㎢에 불과하다. 그러나 남한 주변 해역의
영해
(즉 대륙붕) 면적은 무려 36만㎢에 이른다. 물론 공해(公海)까지도 개발 대상으로 삼는다면 그 면적을 논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오직 하루 빨리 다른 나라보다 먼저 공해에 진출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춰 자원을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