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토
강토
국토
대지
영수
영역
d라이브러리
"
영해
"(으)로 총 22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 인터뷰] 국내 최초 물리탐사 연구선 ‘탐해 2호’ 퇴역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독도도 탐사했다던데? 바다엔 땅과 마찬가지로 가까운 나라가 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영해
, 즉 배타적 관할 구역이 있어. 이곳의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선 우리도 그만큼 바다를 잘 알고 있어야겠지? 탐해 2호는 1997년 독도 주변 해역을 탐사하다가 바다 아래 3개의 거대한 해저산이 있는 것을 ... ...
팩트체크7. 오염된 수산물이 식탁에 오를까?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오염수가 유출됐다. 김 교수는 “그럼에도 바다의 희석 작용과 정화 작용 때문에 일본
영해
를 벗어난 지역에서는 아직 별다른 문제가 보고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2022년 벨기에원자력연구소 연구팀도 도쿄전력의 광어 연구와 유사한 연구를 했다. 벨기에 연구팀은 더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했다.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안전한 항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영해
의 범위를 결정하는 기준이기도 하다.
영해
는 물이 완전히 빠지는 지역에서 12해리까지다. 이보다 엄밀해야 하는 법에서는 좌표로 기준점을 나타낸다. 우리는 보물을 찾았지만, 알고 보니 우리를 보물로 이끈 좌표야말로 진정한 보물이었다. 좌표를 ... ...
[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짧게 수 개월에서 길게는 수 년이 걸린다. 서 교수는 “태평양을 지나 우리나라
영해
로 들어온다고 해도 어마어마한 양의 바닷물에 희석돼 안전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직후 바다로 퍼져 나간 오염 물질이 이미 태평양을 돌아 우리나라 바다로 들어왔을 가능성도 있다. ... ...
일본 오키나와 남부까지 우리 대륙붕 될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경사인 대륙사면, 가파른 경사 이후 다시 완만해지는 대륙대로 구성된다. 대륙변계가
영해
기준선에서 200해리에 미치지 못할 경우, 200해리까지는 권리를 인정해준다. 배타적 경제수역까지는 권리를 인정해주겠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대륙변계의 끝이 배타적 경제수역을 넘어가면 어떻게 될까. 주로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심해잠수정이 필요 없고, 동해를 통해 태평양 탐사에 나서야 하는데 주변국가들과
영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쉽지 않다.한국이 독자 개발한 과학실험용 유인 잠수정은 1987년에 개발한 ‘해양 250’이 유일하다. 탑승인원 3명으로 해저 250m까지 탐사할 수 있으며 수중카메라와 비디오, 로봇팔 등을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필요 없다. 전적으로 연안국의 주권에 의거한다. 독도해양 과학기지는 독도의 12해리
영해
범위 안에 있어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정부가 독도에 과학기지를 세우는 것은 일본이 제기한 이슈에 정면대응하기보다는 보편성을 갖는 과학연구로 영토의 정당성을 확보하겠다는 뜻이 크다. 독도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최적의 안내를 펴는 ‘자동위치식별신호표지’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우리나라
영해
를 빈틈없이 감싸고 있는 수천여 개의 항로표지를 관리하는 일. 그 중심에 낭만과 바닷가의 추억으로 대변되는 등대가 서 ... ...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과학기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섬, 우리
영해
가 되는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국제법상 암초나 바다의 인공구조물은
영해
나 대륙붕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어도 해역은 한·중·일 3개국의 2백 해리 배타적 경제수역(EEZ)이 중첩되는 분쟁 수역이어서 중국도 그동안 두 차례 기지 건설 중단을 요구했다.이어도는 마라도에서 1백4 ... ...
연구형 국제 경시대회 참가자와의 만남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반론을 잘하는 팀은 상대팀에게 끌려가지 않고 시간조절도 잘하며 기술적으로 토론을 운
영해
간다.이에 반해 우리팀은 처음 경합할 때 토론에 무척 서툴렀다. 반론팀이었던 우리는 발표팀을 처음부터 무차별 공격했다. 우리의 토론자세에 심사위원들의 얼굴이 굳어지면서 다소 당황해하는 눈치였다.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