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탈
타락
상궤를 벗어나기
공상
퇴폐
이탈
벗어나기
d라이브러리
"
탈선
"(으)로 총 27건 검색되었습니다.
뉴턴역학 실험실 놀이동산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롤러코스터는 도르래 같이 생긴 여러 개의 바퀴가 레일 사이를 굴러가도록 함으로써
탈선
이 일어나지 않도록 만들어진 엔진없는 기차다.롤러코스터는 모터에 의해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까지 끌어올려짐으로써 일정한 위치에너지를 얻는다. 일정한 높이까지 올려진 후에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 ...
성과학의 어제와 오늘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가는 남성상위 이외의 모든 성교체위를 조물주가 정한 법칙에서 벗어난 부자연스러운
탈선
일 뿐만 아니라 색정적인 짓으로 간주했다.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의 성에 대한 부정적 견해는 아직까지도 가톨릭 교도들에게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가톨릭의 성문제에 관한 전통적인 분석 중에서 ... ...
흔들리는 고속전철 8대쟁점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영하 10℃의 추위에 전차선이 얼어붙어 3만명의 발을 묶어놓았다. 93년 12월에는 테제베가
탈선
했던 적도 있다.유럽보다 기온변화가 심한 우리나라에서 테제베가 과연 안전하게 승객을 태울 수 있을까 하는 점에서 많은 의구심을 불러일으킨다. 고속철도건설공단측은 전차선이 얼지않도록 ... ...
5백만의 인포테이너 삐삐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필수 소지품의 하나로 무선호출기를 꼽는다. 중고생에게는 어머님들을 안심시키는 '
탈선
방지용' 으로, 연인들에게는 한밤중에도 연락이 가능한 '사랑의 메신저' 로 이용되는 듯하다.무선호출은 무선통신서비스의 일종으로 공중통신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무선호출시스템을 이용해 ... ...
기계도 피로를 느낀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사진 1). 또 얼마 전에는 장항선을 운행하던 객차의 차축이 부러지는 바람에
탈선
하는 사고가 있었다. 이것 역시 진동하는 동적 하중을 받는 차축이 내구 연한(20년 정도) 이 지난 상태에서 누적된 피로에 의하여 파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성수대교 피로 파괴의 전형외국의 예로는 1988년에 일어난 ... ...
우주론이 흔들리고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가장 모범적인 빅뱅모델에서는, Ω=1에서 극히 미세한
탈선
조차도 곧 파멸의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특별한 조율의 선택없이 새로 태어난 우주는 즉시 붕괴되거나 혹은 너무 빨리 팽창돼 별을 형성할 수 있는 시간을 갖지 못할 것이다."1981년 인플레이션 모델에서, ... ...
동물도 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진화유전학자들은 조금 다르게 보고 있다. 자살이 자연선택과 적응의 영역을 벗어난
탈선
이라거나 인간의 병리학적 현상이라고 설명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들은 자살이 대부분의 나라에서 공통적일 뿐 아니라 전체 사망원인의 약 1%를 점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게다가 ... ...
물리 - 놀라운 자기부상열차 운행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열차의 모형을 만들고 열차 속에 자석을 고정시킨다. 이때 주의할 점은 열차의
탈선
을 막기 위해 바깥 레일의 높이를 5㎝ 정도 높게 설치해야 하고 부상한 열차의 높이를 맞추는 일이다.열차가 완성됐으면 자력이 센 쪽의 레일 위에 열차를 올려 놓는다. 그러면 자석의 척력(斥力)에 의해 열차가 ... ...
TGV,
탈선
사고로 오히려 안전도 입증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것.TGV는 지난 81년 실용화 이후 지금까지 여섯번의 사고가 있었다. 그중 네번이
탈선
사고였으나 그때마다 열차는 전복되지 않았다. 이제까지 인명피해는 전무. 중요한 사실은 TGV도 사고는 난다는 것이고 기계가 우수해도 그것을 사람이 제대로 다루어야 피해를 막거나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TGV를 ... ...
테제베 일반철도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일반철도 : 4백mTGV : 4천m캔트열차가 곡선구간을 주행하면 원심력이 곡선 외측으로 작용해
탈선
할 위험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열차의 중량과 횡압이 곡선 외측 레일에 부담을 크게 주어 궤도를 파괴하고 열차내 승객의 승차감을 해친다.이를 해소하기 위해 (그림2)와 같이 곡선 외측 레일을 내측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