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름"(으)로 총 7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잎부터 뿌리까지 '식물도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나뭇잎은 물속으로 가라앉을 때, 좌우로 움직이며 서서히 내려가요. 로봇은 아주 얇은 필름과 스테인리스 시트를 압착해 만들어졌습니다. 로봇에 열을 가하면 로봇을 물속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요. 조규진 교수팀은 로봇에 기름 흡착 시트를 부착하면 로봇이 스스로 헤엄쳐서 물에 ...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정렬 마크없이 미세 패턴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미세 패턴이 새겨진 필름과 필름을 잘못 이어붙였을 때에 모아레 무늬가 생성된다는 점에 착안해, 모아레 무늬를 통해 미세 패턴의 정렬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이뤄지지 않았다면 얼마나 틀어졌는지까지 알 수 있는 기술이다. 지역에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사라지거나 느려진다! 구슬 마술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방법을 찾기 위해 시작됐어요. 연구를 이끈 미국 텍사스대학교 유홍 궈 연구원은 “젤 필름 1kg으로 상대 습도가 15% 미만인 건조한 지역에서도 하루 6L(리터)의 물을 생성할 수 있다”며 “지구상에서 가장 덥고 건조한 곳에서 사람이 물을 얻을 수 있는 실용적인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답니다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진화된 로봇 군단 현실에서 얼마나 구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기술입니다. 여기에는 ‘디지털 홀로그램’ 기술이 사용됩니다. 아날로그 홀로그램처럼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물에서 반사된 빛을 디지털 형태로 기록하고, 이 데이터를 다시 홀로그램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방식입니다. 지난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마이크로소프트가 ... ...
- [뉴스%인터뷰] 독사 어금니 모방한 주사기로 코로나19 백신 맞는 날 올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압력에 따라 전기신호를 만들고, 이런 신호의 발생 빈도에 따라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필름 형태의 센서를 만들었다. 또한 센서의 신호를 실제 신경세포에 연결해 신경세포와 센서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들었다. doi: 10.1126/science.aaa9306 이를 발전시키면 앞으로는 실제 피부와 동일한 ... ...
- [기획] UFO? 아닙니다. 과학 임무 중인 풍선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연구를 주도한 적 있는 이관중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고어라고 부르는 필름 조각을 열로 가해 한 장씩 붙여야 하는데 NASA에 방문했을 당시 수십 년 동안 그 일을 담당한 직원들의 숙련도가 인상 깊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폴리에틸렌으로 만든 대형 과학기구는 대부분 재활용된다.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인식할 수 있는 범위까지 영상으로 채우는 상영 방식을 뜻합니다. IMAX는 일반 영화와 필름의 사이즈부터 다른 영화 방식이에요. 덕분에 선명한 화질로 실감나는 영화를 볼 수 있지요. IMAX의 기술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IMAX를 더 재밌게 즐기고 싶다면, IMAX에 대한 모든 것이 담긴 이번 영상을 꼭 확인해 ... ...
- [뉴스&인터뷰] 3D 프린터, 우주 개척에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표준 FDM 방식(Fused Deposition Modeling・열가소성 물질을 노즐 안에서 녹여 뽑아낸 뒤 얇은 필름 형태로 적층하는 방식) 3D 프린터만 있으면 비교적 쉽게 제작할 수 있다. FDM은 부품이 인쇄되는 인쇄판과 인쇄 재료 역할을 하는 필라멘트 코일, 압출기로 구성돼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의 3D 프린터다. ... ...
- ‘진짜 산학협력’ 해보고 싶다면.... 창원대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스마트제조융합전공팀이 개발한 ‘미세구조 표면을 이용한 감염성 질병 확산 방지 필름’은 2022년 11월 한국연구재단 주관으로 열린 ‘2022 산학협력 EXPO’ 학생창업유망팀 300 제품전시회에서 인기상을 차지했다. 이런 연구결과물은 다시 학부생을 가르치는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조영태 교수는 ... ...
- [4컷 만화] 필름 붙이자 한겨울에도 식물이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높이는 1.2배, 무게는 1.4배 더 성장했습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쇼지 스나오 교수는 “필름을 재설계해서 자외선을 녹색이나 노란색 등 다른 색으로 자유롭게 제어한다면, 식물에 따라 광합성에 최적화된 빛을 만들어 농업 및 임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유로퓸 :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