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름"(으)로 총 788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치타처럼 쌩! 질주하는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8호
- 궈용 마오 연구원팀이 공개했습니다.연구팀은 고무와 실리콘 성분의 탄성체 필름으로 쉽게 늘어나는 성질의 납작한 판을 만들어 구부렸어요. 그 안에 액체로 된 금속 코일을 넣었습니다. 자석 등을 움직여 만든 자기장●으로 코일을 변형할 수 있지요. 이 로봇은 코일을 변형시키며 구부려졌다 ... ...
- [어덕행덕] 필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카메라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뉴트로’는 새로움의 뉴와 레트로(복고)의 합성어입니다. 디지털 이미지 센서의 등장으로 필름카메라는 더 편리한 디지털카메라에 자리를 내 ... 필름카메라는 사진을 찍는 전체 과정을 색다르게 즐기는 재미가 있었습니다. 일단 작은 필름카메라로 시작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둥둥 뜨는 영화관? 플로팅 홀로그램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플로팅 홀로그램 영상에서는 동영상이나 사진이 동시에 네 방향으로 나와 영상이 각각의 필름에 반사되어 측면 어느 방향에서도 볼 수 있었죠. 한걸음 더! 해리포터의 투명 망토? 난 ‘투명 방패’! 영화 를 보며 투명 망토 속에 숨는 상상을 해 본 적 있나요? 투명 망토처럼 물체를 ... ...
- [출동! 슈퍼M] "번호판만 보고도 자동차 종류를 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영어 ‘KOR’과 태극무늬, 번호판 위조 범죄를 막기 위한 홀로그램이 새겨져 있어요. 필름식 번호판은 페인트식 번호판보다 빛을 잘 반사해 어두운 곳에서도 번호가 잘 보인답니다. 번호판에서 발견한 ‘택시 수’ 주차장이나 도로에서 자동차를 보다가 번호판에서 ‘1004’나 ‘1234’처럼 특별한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빛의 파동(물체파)과, 물체에 닿지 않은 빛의 파동(기준파)이 만나며 생기는 간섭무늬를 필름에 기록한 뒤, 원래 물체의 입체적인 영상이 우리 눈앞에 나타나게 하는 거랍니다. pH(수소 이온 농도) ‘pH’라는 용어를 들어 봤나요? 수소 이온의 농도를 의미하는 pH는 용액 1L에 얼마나 많은 수소 이온이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실처럼 가느다란 센서로 재활 훈련 돕는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살피는 센서다. 이 교수는 “기존에 학계에서 연구되는 임플란터블 센서는 대부분 필름 형태”라며 “몸 안이 미끄럽고 끈적해 잘 붙지 않고, 센서에 구멍을 뚫어 심장 등 표면에 고정시키면서 센서가 손상되기도 한다”고 말했다.그런데 꿰매는 실(봉합사) 자체가 센서라면 어떨까. 이 교수팀은 ... ...
- [이달의 과학사] 1869년 4월 6일 플라스틱의 시대를 연 셀룰로이드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이름을 붙이고 4월 6일에 특허를 받았지요. 셀룰로이드는 피아노 건반, 의치, 영화 필름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면서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하지만 충격을 받으면 폭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 실용적인 당구공을 만들지는 못했어요. 당구공끼리 부딪치는 순간 폭발할 테니까요! 이런 단점을 ... ...
- [출동! 슈퍼M] “같은 40인치 TV인데 화면 크기가 다르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가장 많이 쓰는 TV는 화면의 비율은 16:9로 가로로 길쭉한 직사각형 모양이에요. 더 이상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로 영상을 만들게 되면서 TV 화면도 4:3 비율을 고집할 필요가 없게 됐거든요. 오늘날에는 16:9 비율뿐 아니라 21:9, 32:9와 같이 가로가 더 길쭉한 TV도 볼 수 있어요. 21:9 TV는 극장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0칼로리 치킨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포장을 풀지도 않았는데 벌써 방 안에 고소한 기름 냄새가 진동합니다. 경건한 마음으로 뚜껑을 열면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내는 치킨 때문입 ... 느껴지는 것도 먼 미래는 아닐 것 같네요. 화면을 핥는 게 우아하지 못하다면 투명 필름 대신 곤약 치킨 위에 치킨 맛을 분사하는 방법도 좋겠죠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한파 “생존템” 온열 마우스패드 만들기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원자와 충돌할 때마다 운동 에너지를 잃는 대신 열을 발생합니다. 탄소계 면상발열체는 필름, 부직포 또는 섬유 위에 탄소잉크를 코팅한 뒤, 구리 전극을 부착한 형태입니다. 흑연, 탄소나노튜브 등 면상발열체에 이용되는 탄소계 물질은 전기저항이 크면서 열에 강한 소재라 줄 발열을 이용하기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