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침투 이론으로 산불 진행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2023년 4월 홍성, 당진, 부여 등 총 12곳에서 연쇄적으로 3일 동안 대형 산불이 발생해 큰 피해를 봤다. 우리나라 산처럼 나무가 다닥다닥 붙어 있는 숲에서는 한 지점에서 시작된 불이 금세 주위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 숲속 나무 밀도에 따라 산불의 진행 정도를 예측하는 수학 이론이 있다. 바로 ... ...
- [Chapter 3] 사회 문제의 답 찾는다!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어떤 주에서 어느 후보가 승리할지 모두 맞혔다는 뜻이다. 가장 최근에 있었던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도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를 꺾을 확률이 89%라고 예측했고, 실제로 바이든 후보가 당선했다. 용어 설명*회귀 분석 : 어떤 변수가 다른 변수에 의해 ... ...
- 영화, 드라마 흥행 예측하는 AI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배우가 있는 반면 오랜 무명 시절을 겪는 배우도 있다. 배우 구교환은 2008년에 데뷔해 10년가량 여러 작품을 거쳐오다가 2019년에 영화 ‘메기’를 통해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렸다. 그렇다면 배우가 언제 전성기를 맞이할지 미리 알 수 있을까? 2019년 이탈리아 응용수학자 비토 라토라가 이끄는 ... ...
-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생성비로 생성 과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이 논문은 위와 맵시 두 쿼크로 이뤄진 D0 입자와 크사이씨 중입자의 생성 비율을 기존의 여러 이론 계산과 비교했고, 이번 실험이 기존 이론들로 설명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기존엔 맵시 쿼크가 붕괴하며 발생한 쿼크들이 조합돼 맵시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가장 빠르고 똑똑한 로봇 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구독자 : 16.4만 명)복잡한 미로 속에서 쥐가 단번에 목적지를 찾아냅니다. 불과 10초도 걸리지 않고 말이죠. 이 쥐의 정체는 바로 로봇 쥐예요. 로봇 쥐는 첫 번째 주행을 하며 인공지능(AI)을 통해 목적지까지 가는 최단 경로를 학습합니다. 두 번째 주행부터는 막힘없이 목적지까지 얼마나 빠르게 ...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지구도 방학이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서울 역촌초 교사). 학교가자교사협회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학교가자교사협회는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교사들이 원격 수업을 위한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하며 설립됐습니다. 데이터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한 환경 교육 과정인 ‘나의 도넛 복숭아’ 교실을 운영하고 ... ...
- 빙하 녹는 속도 알려주는 푸리에 법칙수학동아 l2024년 04호
- 2023년 8월 발표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인해 21세기 내에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 면적이 현재의 절반으로 줄어들 수 있다고 한다. 감소 ... 일어나는지 설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용어 설명*영구동토층 : 토양 온도가 0℃ 이하로 최소 2년 동안 유지되며 얼어 있는 땅 ... ...
- [신의 책] 개념을 명확히 모르면 생기는 일수학동아 l2024년 04호
- 그러면 등비수열의 합은 a/(1-r)이 됩니다. 처음 봤던 등비수열의 초항은 0.9이고 등비는 1/10이었어요. 이 경우 등비의 절댓값이 1보다 작기 때문에 a/(1-r)에 대입해보면, 아래와 같아요. 이 등비수열의 합 0.9999…는 1에 수렴해요. 그런데 여기서 수렴한다(converge)는 말의 의미를 조금 더 자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여인형동국대 화학과 명예교수 ‘여인형의 화학 공부’ 저자 개봉한 지 2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최고의 SF 작품이라 손꼽히는 영화 ‘매트릭스’ ... 없는 물질이 과연 있는지 깊이 고민해 보길. 혹시 모르지 않는가. 과학동아 독자라면, 100만 파운드와 여 교수의 집을 함께 얻을 수 있을지 ... ...
- 얼마나 행복할까? 행복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행복 방정식’을 도출했다. 이후 연구팀은 이 공식이 맞는지 입증하기 위해 1만 8,42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게임 ‘나를 행복하게 만든 것은 뭘까?(What makes me happy?)’를 진행했다. 이 게임은 첫 번째 실험 데이터를 토대로 만들었다. 이때 연구팀은 이들이 게임 결과에 따라 느낄 행복감을 미리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