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러시아어"(으)로 총 23건 검색되었습니다.
- 크리스마스기사 l20201207
- 알아볼까요? 한국어: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영어: 해피 뉴 이어 중국어: 신 니엔 하오 불어: 본 - 아네 포루투갈어: 아노 노보 펠리스 러시아어: 스 노븜 거덤 스페인어: 펠리스 아뇨 누에보 일어: 아케마시떼 오메테토우 고자이마쓰 이탈리아어: 누오보 아노 펠리체 아랍어: 쿨라 싸나틴 와안타 비카이리 출처: 동화랑 7. 캐롤링 캐롤링을 아 ...
- 고종황제를 독살하려고한 김홍륙기사 l20201124
- 이상하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누군가 황제의 커피에 독약을 넣었다는 것 입니다.황제 독살 미수 사건의 범인은 바로 김홍륙! 그는 러시아어 통역관 출신으로, 아관파천 때 고종과 러시아 공사 베베르의 통역을 맡으며 고종의 신임을 얻었어요.그런데 러시아 세력을 믿고 사리사욕을채우다 들키는 바람에, 흑산도로 유배를 가게 되었어요.그러나 김홍륙은 황제에게 ...
- 신기한 환상의 포켓몬 3가지기사 l20200927
- 인간에 소원을 무엇이든지 이루어 줍니다. 타입은 강철,에스퍼입니다. 별모양을 띄고 있으며 귀여운 외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름은 러시아어로 '바라다'에서 유래합니다. (전 이 포켓몬이 나은듯) (세레비) 출처: Fandom 세레비의 타입은 에스퍼,풀입니다. 시간을 넘어 여기저기를 방황합니다. 시간을 초월하는 힘을 갖고있습니다. 또 숲의 신이라 ...
- 러시아어 게임기사 l20200424
- 남다윤 기자입니다 오늘은 러시아어 게임을 해보겠습니다. 차는 이렇게 종류가 있습니다. 그럼 카드에 종류도 알아볼까요? 카드밎에 색깔 보이시죠, 초록색이 가장쉽고요,노랑,파랑,빨강 순서로 어렵습니다 이제 하는법을 알아 볼까요? 카드에 적힌대로 차들을 놓습니다, 주인공 빨강 차를 꺼내야 합니다. 답은 뒤에있고요,이렇게 빠져나가면 끝~~초록색 단 ...
- (아무도 안보는) 소설 공지포스팅 l20190527
- 엄... 때려침니다 그냐앙((((((((퍼퍼퍼퍼펴퍼퍼펖ㅍ 때려치는게 5번째 맞나제목은 이쇼라스 (Еще раз) 러시아어, 한번 더로, 생태탐사하는 청년들 얘기로... 로맨스도 최대한 넣을 계획입니다.(뭐 내가 로맨스 작가는 아니니까 100% 완벽한 로맨스한 보장은 없음)많은 분들이 좋아해주시는 소설이 되었으면 합니다!감사합니다. ...
- 우리집 반려동물을 소개합니다.포스팅 l20180727
- 우리집 반려동물 보석거북이입니다. 이름 : 뚜가(러시아어로 느리게라는 뜻입니다.) 특징 : 먹이를 주면 잘 받아먹습니다. 장점 : 활발하고 겁이 없습니다. 단점 : 손가락을 내밀면 먹이인 줄 알고 손가락을 뭅니다. ...
- 월드컵에 대하여기사 l20180624
- 김진현,조현우 선수님이 출전한다고 합니다. 월드컵의 얼굴인 마스코트는 늑대 캐릭터인 '자비바카'입니다. 자비바키의 뜻은 러시아어로 득점자라는 뜻입니다. 2016년 10월 21일에 공개된 이 마스코트는 한 달 동안 백 만 명 이상의 인원이 투표해 53%를 득표해 선정되었습니다. 올해 월드컵부터 새롭게 바뀐게 있는데요. 종전 대회와 다른 경기 ...
- 러시아의 전통인형, 마트료시카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180401
- 행운을 상징한다고 합니다.)그런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 이런 모습이 나오게 됩니다. 2.마트료시카의 유래 먼저 마트료시카의 이름은 러시아어 여자 이름인 '마트료나'의 애칭이라고 합니다. 러시아에서 처음 만든 것은 1890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본에서 나온 기념품에서 착안하였다고 합니다. 3.마트료시카의 모습 전체적인 형태는 모난부분 없이 ...
- UN청소년환경총회를 통해 달라진 나의 생각들기사 l20171119
- 10월 24일에 50개국이 공식적으로 첫 유엔 총회를 하게 되었습니다. 입니다. UN의 공식 언어는 총 6개입니다.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중국어, 아랍어가 공식 언어입니다. 본 총회에서는 실제 UN 총회와 동일한 절차로 진행되는데요. 각 나라의 대표자들이 5개의 그룹으로 모여 하나의 결의안을 도출하고 각 그룹의 대표자가 모여 ...
- 동아 신문박물관에 다녀와서기사 l20170817
- 였다. 우리나라에서 소련으로 건너간 우리나라 사람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윗줄은 한글, 아랫줄은 러시아어로 간행되었다. 먼 나라로 쫓겨나서도 한글을 지켜 온 조상들이 참 대단하다고 느껴졌다. 전시물을 관람하다가 어린이 토요놀이교실 수업이 시작되었다. 교실에 들어가니 ...
이전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