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귀납"(으)로 총 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N사피엔스] 기체화학과 플로기스톤2020.03.19
- 대처할까? 보통 사람들이 과학에 대해 갖고 있는 심상은 베이컨 식의 귀납주의이다. 귀납주의의 전형적인 성공사례인 케플러의 경우를 떠올려 보자. 편견 없이 정밀한 실험으로 연소 이후 금속의 질량이 늘어났다는 것을 확인했다면 그 결과를 믿고 플로지스톤 이론을 폐기했어야 한다. 그러나 여러 ... ...
- [주말N수학] 수학자,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는 사람들2020.03.14
- 위해선 다양한 훈련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수학자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귀류법이나 ‘귀납법’과 같은 강력한 증명 도구를 이용하고, 새로운 문제를 풀기 위해서 그동안 밝혀진 지식도 쌓아야 합니다. 동료 수학자와 함께 연구하면서 문제를 풀 확률을 높이기도 합니다. 사실 어떤 문제는 기존의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혁명과 뉴턴주의 2020.02.20
- 설명은 훨씬 기계론적이다. 넷째, 새로운 과학 방법론이 등장했다. 앞서 소개했던 귀납주의의 베이컨, 수학적 연역주의의 데카르트, 그리고 실험과 수학을 결합시킨 갈릴레오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마지막으로 다섯째, 궁극적인 설명보다 즉각적인 기술 방식을 채택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 ...
- [사이언스N사피엔스]과학혁명의 배경2020.02.06
- 설명하기 어렵다. 베이컨과 데카르트 이후로도 영국은 대체로 경험주의나 귀납주의가 득세를 하고 대륙의 프랑스는 수학 중심의 연역주의가 발전한 것은 흥미롭다. 수학자로서의 데카르트는 좌표계를 도입해 해석기하학을 창시했다. '데카르트 좌표계'는 지금도 가장 흔히 쓰이는 좌표계이다. 그냥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2019.10.17
- 사례는 그리 많지 않다. 게다가 과학은 단순히 귀납주의로만 발전하지도 않았다. 앞으로 귀납주의가 무력해지는 숱한 사례를 보게 될 것이다. 조금 생뚱맞게도 케플러는 최초의 SF 소설이라 할 수 있는 《꿈》이라는 작품을 쓰기도 했다. 행성법칙을 발견한 케플러답게 이 책의 내용은 행성 간 ... ...
- 4차 산업혁명 시대, 통계교육 방향은?동아사이언스 l2017.08.28
- 통계학과 교수는 “수학자는 대부분 연역적 사고로 결론에 도달하지만, 통계학자는 귀납적 사고로 결론에 도달한다”고 설명했다. 다시 말해 수학자들은 A가 B이고, B가 C여야 A가 C라는 결론을 내지만, 통계학자들에겐 A가 D이고, B도 D이면, 때에 따라 C도 D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박 ... ...
- 알파고가 전부가 아니다…구글의 인공지능(AI) 기술 TOP 7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7.06.12
- 데이터는 다시 중앙에서 학습돼 공통의 모델에 반영된다. 기존의 딥러닝 방식이 귀납식이었다면, 연합학습은 연역식 딥러닝이라고 볼 수 있다. 연합학습은 이용자 개개인이 즉각적인 딥러닝 혜택을 입는다는 정점도 있지만, 개인의 정보보호 측면에서도 유리한 점이 있다. 중앙 클라우드에서 학습을 ... ...
- 창의력은 25세에 정점 찍는다동아사이언스 l2017.04.14
- 명을 추적 조사한 ‘시애틀 종단연구’의 결과다. 이 연구에 따르면 반응속도는 39세, 귀납적 추리 능력과 공간지각 능력은 46세, 어휘 능력과 언어 기억 능력은 60세에 정점을 찍었다. 이 외에도 뇌의 주요 기능이 언제 최고조에 이르는지에 대한 연구가 많다. 조슈아 하트숀 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 ...
- [카드뉴스]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동아사이언스 l2017.04.13
- 직관적인 우뇌형이라는 것이죠. 스페인 마드리드대 심리학과 연구팀에 따르면 저녁형이 귀납추리능력이 더 높다고 합니다. 그러나 학업 성적은 아침형이 더 좋은데요. 학자들은 학교 수업과 시험을 이른 아침에 시작하는 영향이 크다고 지적합니다. 저녁형 학생들은 수면 부족에 시달리고 ... ...
- 2017년 한국판 폴리매스 프로젝트 온다! 고품격 문제 다함께 풀어요!수학동아 l2016.12.09
- 사람’과 ‘수돌이’, ‘37’님이 열심히 문제를 풀고 있는데요, 특히 수돌이님은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해 n의 최댓값을 증명했습니다. 안타깝게도 이보다 더 큰 n값이 있어 증명은 틀렸다고 밝혀졌습니다. 이석형 연구원은 “처음 문제를 출제할 때는 증명이 쉬울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생각보다 ... ...
이전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