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귀납적추리
귀납추리
회귀
뉴스
"
귀납
"(으)로 총 24건 검색되었습니다.
3월 과학기술인상에 이상혁 교수…40년 수학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3.05
공간에서만 정의되는 공간곡선에 대해서는 오랜 시간 미해결 상태였다. 이 교수는
귀납
적 방법과 다중선형 접근법을 개발해 공간곡선에서 극대함수의 유계성을 증명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3차원 공간에서 휘어짐(곡률)과 비틀림(torsion)의 정도가 모두 0이 아닌 곡선에 대해 ... ...
DNA 분석만으론 어려운 '참·거짓' 가리는 '진술분석'
과학동아
l
2024.03.30
독일의 심리학자 우도 운도이치가 아동 성폭력 피해자의 진술 수천 건을 분석하며
귀납
적으로 마련한 '진실한 진술에서 발견되는 지표'로 진술의 진위를 가리는 방식이다. 진술의 일관성, 대화의 재현, 피해자가 이해하지는 못하나 정확히 보고한 세부 정보, 기억 부족 시인 등 18가지 지표가 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수학적 원리, Principia)'에서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표했다. 관찰과 실험을 토대로
귀납
적 추론에 의해 결론에 이르는 과정은 아주 과학적이었으며 이로 인해 인류가 모르고 있던 새로운 진리를 알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천문학과 물리학이 크게 발전할 수 있었다. 뉴턴이 발견한 만유인력의 법칙은 ... ...
[주말N수학] '자연수 집합'과 '짝수 집합' 크기는 같다?...수학 바꾼 '무한'
수학동아
l
2023.04.01
어떤 수이건 모두 참이어야 해요. 이러한 명제를 증명하는 방법 중 하나가 ‘수학적
귀납
법’이 이에요. n = 1일 때 성립함을 보이고, n = k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한 뒤 n = k + 1이 성립함을 보이면 어떤 무한한 계산이라도 참과 거짓을 증명할 수 있지요." 수학동아 DB ○ 세 번째 질문. 우리는 ... ...
[의학사로 읽는 세상] 뉴턴, 페스트 유행 기간 '만유인력의 법칙' 떠올렸다
2022.10.11
늦었다. 관찰과 실험을 통해 이론을 세우고 추론을 통해 진리를 알아내야 한다”는
귀납
법을 주장한 것이 수십년 후에 결실을 보게 된 것이다. 뉴턴이 케임브리지대 트리니티 칼리지 학부 시절에 쓴 공책이다. 왼쪽 아래에 토머스 펠릿이 '출판하기에 적절치 않음'이라고 쓴 글귀가 보인다. ... ...
[카드뉴스]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직관적인 우뇌형이라는 것이죠. 스페인 마드리드대 심리학과 연구팀에 따르면 저녁형이
귀납
추리능력이 더 높다고 합니다. 그러나 학업 성적은 아침형이 더 좋은데요. 학자들은 학교 수업과 시험을 이른 아침에 시작하는 영향이 크다고 지적합니다. 저녁형 학생들은 수면 부족에 시달리고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일반상대성이론의 검증
2021.05.27
버리면서까지 브라헤의 관측 데이터를 더 신뢰해 타원궤도라는 결론을 이끌어 낸 철저한
귀납
주의자들이라면 수성의 근일점 이동을 이유로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을 버렸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과학의 역사에서 그런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똑똑한 과학자들은 어떻게든 기존의 패러다임 ... ...
[주말N수학] 수학으로 영화 속 비밀 푼다
수학동아
l
2021.05.15
장면’이라는 구체적인 사실로부터 ‘영화의 주제’인 일반적인 명제를 도출하는
귀납
적 추론 방법을 사용하면 영화의 숨겨진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테면 판문점을 지키는 군인들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2000년)’에는 뜬금없이 발을 보여주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 이중나선 발견에 가려진 ‘암흑여사(dark lady)’ 프랭클린
2021.01.21
building)를 꼽을 수 있다. 흔히 과학이라고 하면 실험결과로부터 일반법칙을 이끌어내는
귀납
법을 떠올리지만, 실제 과학이 진전하는 과정은 상당히 복합적이다. 원리적으로도, 언제나 만족할만한 실험결과가 과학자의 손에 쥐어지는 것은 아니다. 남은 여백은 과학자의 상상력으로 메워야 한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역학의 예상과 다른 변칙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만약 과학자들이 케플러처럼 충실한
귀납
주의자가 되어 오직 관측결과만을 절대적으로 받아들인다면, 케플러 법칙이나 뉴턴역학 자체를 부정했을지도 모른다. 물론 아주 간단하게는 관측 결과가 잘못되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과학의 역사에서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