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534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소 흡수력 높인
미생물
나올까…광합성
미생물
유전자 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미생물
의 낮은 유전자 교정 효율이라는 큰 장애물을 넘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로 광합성
미생물
기반 탄소저감 기술의 실현을 앞당기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연구성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3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https://doi.org/10.1073/pnas ... ...
항생제 내성도 일으키는 미세플라스틱...광합성 방해 영향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3.17
자만 미국 보스턴대(BU) 교수 연구팀이 1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응용 및 환경
미생물
학'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이 콜라이(E.coli) 란 이름의 특정 대장균을 다양한 미세플라스틱과 함께 배양한 결과 항생제가 없는 환경에서도 세균의 내성이 증가하는 현상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에 ... ...
고구마 먹으면 방귀가 잘 나오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3.15
고구마에 들어 있는 올리고당과 저항성 녹말 또한 소장에서 거의 분해되지 않고 대장
미생물
에 의해 분해되는 성분입니다. 음식물을 소화할 때 대장에 있는 음식 찌꺼기가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가스가 생겨요. 이 가스들이 항문으로 분출되는 것이 방귀입니다. 고구마는 식이섬유와 올리고당, ... ...
인삼 유래 골근감소증 치료 효과 장내
미생물
따라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미생물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EN과 EV는 장내
미생물
을 이용해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의약품인 파마바이오틱스 개발에 유망한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인체 적용 가능성과 안전성 검증을 거쳐 맞춤형 골근감소증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
"한국서 첫 발견 신종 슈퍼곰팡이, 국내감염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일으키는 능력이 강한 새로운 계통이 최근 해외에서 유입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대한임상
미생물
학회에 따르면 2022년 고병원성의 '남아시아유형'의 병원 내 집단발병이 발생했으며 이후에도 여러 국내 병원에서 남아시아 유형이 유입됐다. 한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초기에는 환자에게 심각한 ... ...
유산균이 아토피 피부염 완화하는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2
연구팀에 따르면 특히 프로바이오틱스 유래 EV는 효과가 빠르고 부작용이 적어 숙주와
미생물
간의 새로운 소통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프로바이오틱스 유래 EV인 'LF216EV'의 특성을 분석하고 아토피성 피부염 쥐 모델에서 효과를 평가했다. 그 결과 LF216EV는 아토피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데 걸림돌 '인 문제' 해결됐나
2025.03.05
맞다. 다만 흙 역시 식물체를 이루는 질소 일부(나머지는 공기 중 질소를 고정한 토양
미생물
에서)와 인, 황, 칼륨 등의 물질을 공급했고 그 결과 무게가 2온스 줄어든 것이다. 즉 일부는 흙에서 온 것이다. 아무튼 판 헬몬트의 5년에 걸친 노력은 흙이 전부라는 생각을 깼으므로 절반의 성공이라고 ... ...
공기 중 박테리아 농도, AI로 3시간 이내에 탐지
동아사이언스
l
2025.03.05
배양과 동시에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머신러닝 기반 이미지 분석 기술을 활용해
미생물
군집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연구를 이끈 정재희 교수는 “이번 기술은 시료 채취부터 데이터 분석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한 시스템으로 에어로졸 입자샘플링 기술, 대면적 관찰이 가능한 현미경 ... ...
저탄수화물 식단, 대장암 위험 높여…"식이섬유 섭취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3.04
개선할 수 있는지에 대해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저탄수화물 식단은 또 장내
미생물
과 대장 상피세포 사이의 점액층을 약화시켜 박테리아가 장 세포와 접촉할 기회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액층은 장내 박테리아와 대장 세포를 구분하는 '보호막' 역할을 한다. 이 층이 얇아지면 DNA ... ...
DNA와 단백질 만남 장소 싸고 효율적으로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04
위한 추가 연구를 수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김동혁 교수는 “감염성
미생물
의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 규명과 바이오 부품 발굴 등 바이오파운드리 분야 원천기술로서 가치 있는 연구”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핵산 연구’에 지난달 10일 게재됐다. -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