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뉴스
"
상용
"(으)로 총 3,37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최철진 재료硏 원장, 재료과학 국제학술상 '리슌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i-SMR 목표 달성의 가장 빠른 길"이라며 "i-SMR이 최상위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상용
화가 늦어지지 않도록 규제기관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다 쓴 배터리, 고성능 배터리로 재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양극 소재를 손쉽게 고성능 단결정 양극으로 재생할 수 있다”며 “업사이클링의
상용
화를 앞당길 수 있는 의미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에너지 & 환경과학’에 지난달 9일 온라인 게재됐다. doi.org/10.1039/D5EE0108 ... ...
[과기원NOW] KAIST 조정훈 학술상, 이연관 ADD 연구원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KAIST는 항공우주공학과에서 ‘제21회 KAIST 조정훈 학술상’ 수상자로 이연관 국방과학연구소(ADD) 연구원(2013년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석·박사 졸업)을 선정 ... 결함 제어 기술을 독창적이고 혁신적으로 개발해 고효율·고안정성 광전자소자의
상용
화 가능성을 크게 높인 공로를 인정받았다 ... ...
곡물 씨앗 추출 물질 '탈모 치료' 가능성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5.13
극복할 천연성분 기반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시했다”며 “향후 임상시험과
상용
화를 통해 탈모 치료 시장에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자연 유래 성분을 기반으로 안전성과 효과를 모두 갖춘 치료제가 제품화된다면 탈모로 고통받는 환자들의 삶의 질 ... ...
풍력·태양광 재생에너지, 도심까지 안정적으로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12
실증까지 마쳤다. 전력기기 분야 기업체 기술이전 추진을 통해 제품의
상용
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종필 전기연 전력변환시스템연구센터장은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고압 배전 전력계통에서 안정성과 유연성을 확보하고 범국가적 탄소중립 정책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EMMC가 다양한 ... ...
자폐·강박 반복행동, '뇌 염증'과 연관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12
“이와 같은 ‘약물 재창출’ 전략은 개발 기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실제 치료제
상용
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엄 교수는 “이번 연구는 만성 뇌염증이 NMDA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과활성화를 유도하고 반복행동장애가 유발됨을 입증한 사례”라며 “반복행동을 주로 ... ...
프로필렌 생산 촉매 속 백금 100분의 1로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12
줄였다. KAIST는 최민기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이 값싼 금속인 갈륨(Ga)을 기반으로 기존
상용
촉매에 활용되는 백금을 100분의 1로 줄인 촉매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2월 1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JACS)'에 공개됐다. 프로필렌은 프로판(propane)이라는 물질에서 수소(H)를 ... ...
"양자현상 핸들링하는 인류, 100년 만에 2차 양자혁명 중"
동아사이언스
l
2025.05.09
내에 형성된 결함 구조를 활용해 양자통신, 양자센서 기술을 연구한다. 지난해 5월
상용
광통신망으로 양자 정보를 전송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 양자과학기술 분야에서는 개인이 아닌 집단 연구가 필수적이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정 교수는 ... ...
전극·전해질 밀착시켜 실리콘 배터리
상용
화 앞당겨
동아사이언스
l
2025.05.09
전극과 전해질 간 계면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며 “실리콘 기반 전지의
상용
화를 앞당길 수 있는 핵심기술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doi.org/10.1002/advs.20241714 ... ...
박남규 성균관대 종신석좌교수 독일 훔볼트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5.09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
화 가능성을 대폭 향상하며 재생에너지 시장의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박 교수는 지난해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2024 에니상 시상식에서도 에너지 프론티어 부문 수상자로 선정돼 차세대 태양광 기술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