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리
지층
뉴스
"
성층
"(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재사용 가능한 차세대발사체 개발…한화와 갈등 지재권 제도개선안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SPHEREx) 실증 △달 우주환경 모니터(LUSEM) 실증 △항공 가스터빈 엔진 국산화 전략 수립 △
성층
권 드론 시험비행이다. 우주청은 누리호 4차 발사를 11월 성공적으로 진행하는 데 주력한다. 민간과 공동 주관하는 첫 발사체 제작 및 발사 성공을 통해 우주수송 분야에서의 민간 주도 초석을 마련하기 ... ...
한국 과학자 참여한 우주망원경 발사하고 양자컴도 시연
동아사이언스
l
2025.01.06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올해 1분기(1~3월)에 비행체 저고도 비행시험을, 3분기(7~9월)에는
성층
권 장기체공 시험을 진행한다.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 6호, 7호도 올해 하반기(7~12월)에 궤도로 오를 예정이다. 이 밖에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AI 기반 핵심광물 탐사 및 실증 연구'와 '달 남극 자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23년 '이상 고온' 미스터리 열쇠는 '알베도'
2024.12.11
다음으로 2022년 해저화산 훙가통가훙가하파이 폭발로 엄청난 양의 수증기(온실가스다)가
성층
권으로 유입된 사건이다. 보통 화산폭발은 이산화황 등 에어로졸을 내뿜어 냉각 효과를 내지만 해저화산은 수증기의 온실 효과가 더 클 수도 있다. 심지어 선박 연료 규제가 강화되며 황화합물 배출이 ... ...
성층
권 나는 태양광 드론 상용화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새로운 시장으로 활짝 열릴 전망이다"라면서 "해외 의존도가 높은 국내 드론 시장에서
성층
권 태양광 드론 시장만큼은 우리나라가 선도할 수 있도록 핵심부품 개발 및 서비스 발굴 등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 ...
그린란드 빙하에서 찾아낸 백두산 '천년분화'의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성분을 빙하시료에서 분리해 정밀 분석했다. 그 결과 천년분화 동안 방출된 화산가스는
성층
권의 오존층까지 올라가지 못하고 대부분 대류권에 머물면서 일시적으로 햇빛을 차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산폭발이 장기간 기후에 변화를 일으키진 않았을 것이란 설명이다. 연구팀은 "이번 ... ...
[과기원NOW] 자외선 메타홀로그램, 보안의 새 시대 열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7
것이 해결 과제였다. 연구팀은 비풀러렌 억셉터 구조를 비대칭적으로 확장해 균일한 광활
성층
필름을 형성하도록 해 전지 효율을 개선했다. 김봉수 교수는 "유기 태양전지 상용화를 위한 소재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21/acsnano.4c06280 - doi.org/10.1002/adfm.20240740 ... ...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 감소 원인은 자연 변동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오존 농도의 변화를 제시했다. 인간 활동으로 인해 프레온 가스 농도가 높아지면서 남극
성층
권의 오존 농도가 감소해 남극과 열대 태평양 사이에 위치한 고기압이 강해졌다. 남극 상공의 온도가 떨어지며 열대 태평양의 무역풍이 덩달아 세지면서 동태평양의 수온 하강을 증폭하는 '양의 되먹임 ... ...
고품질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대면적화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중심으로 위아래로 전자 수송층, 정공 수송층이 적층돼 있는 구조다. 이중 광활
성층
에서 빛에 의해 발생한 전자를 전극으로 전달하는 '전자 수송층'의 결함을 제어해 균일한 대면적 박막을 만드는 것이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모듈 개발의 핵심 요소 중 하나다. 기존의 전자 수송층에 주로 ... ...
"비행기 탈 때 공포의 '난기류' 2050년 이후 2배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5.25
대기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중위도 남쪽 대류권 공기는 더 따뜻해지고 중위도 북쪽
성층
권 공기는 더 차가워져서 그 사이에 위치한 제트기류가 강화되기 때문에 난기류가 잦아진다"고 설명했다. 빈번해진 제트기류가 산악지형을 지나며 난기류를 많이 만들기도 한다. 외신에서 가장 주목하는 ... ...
2023년 여름, 지난 2000년 중 가장 더웠다
2024.05.15
대규모 화산 폭발이 발생한 이후에 나타났다. 화산은 엄청난 양의 에어로졸을 분출하고
성층
권까지 덮어 급격하게 지표면을 냉각시킨다. 나이테 데이터로 확인한 대부분의 따뜻한 시기는 엘니뇨 현상이 주요 원인이었다. 엘니뇨는 북반구의 여름 기온을 높이는 경우가 많다. 엘니뇨는 1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