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명
목숨
예정
필연성
불가피
천명
운
뉴스
"
숙명
"(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김명자 KAIST 신임 이사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3.05.09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버지니아대에서 이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어
숙명
여대 교수와 명지대 석좌교수, KAIST 초빙특훈교수 등을 거쳤다. 1999~2003년 김대중 정부 때 환경부 장관을 역임하고 2004~2008년 국회의원을 지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와 국민경제자문회의, 정책기획위원회, ... ...
[프리미엄 리포트]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
과학동아
l
2023.03.25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4년 미국 스탠포드대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거쳐 2016년부터
숙명
여대에서 근무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광나노소재 설계 및 관련 응용 기술 개발이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3월,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 ...
[주말N수학] 록밴드 '보컬리스트'가 부캐인 괴짜 수학자
수학동아
l
2023.02.25
영향 받고 싶지 않아서 ‘서태웅’이라는 가명으로 활동하고 있어요.” 서검교
숙명
여대 수학과 교수 ● 본캐 수학자 서검교, 직접 부딪쳐 답을 찾다 ‘탈락입니다’라는 말을 50번 듣고서야 가수 데뷔의 꿈을 접은 건 서 교수의 타고난 투지(鬪志) 때문이다. 어렸을 적부터 호기심이 많고, 뭐든 ... ...
"지구사랑탐사대가 6년간 쌓은 데이터로 매미 생태 추적했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2.15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변화를 분석한 맹꽁이2팀을 최근 만났다. 데이터 분석 리그 1위
숙명
여대 맹꽁이2팀. ○ 주제 : “서식지 특성에 따른 매미 종류와 개체수 분석” Q. 매미 데이터로 알아낸 것은 무엇인가. "매미는 종에 따라 영향을 받는 기상 요인이 다르고 개발된 지역일수록 ... ...
손상된 DNA 복구 관여하는 새 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될 전망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홍태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김용환
숙명
여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DNA 결속손상(ICL) 복구 과정에서 경로 선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로 알려진 TRAIP 단백질과 결합하는 ‘ZNF212’ 단백질을 발견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핵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
2023.01.18
길러내겠다는 자신의 청사진에는 아무 문제가 없었다고 한다. 오히려 2018년 7월에 불거진
숙명
여고 쌍둥이 내신 조작 사건으로 정시 확대 요구가 쏟아지면서 문재인 정부가 수능 개편에 ‘정무적 판단’을 개입시킨 것이 문제였다는 것이다. 뒤늦게 끼어든 수학계의 교과 이기주의도 문제였다는 ... ...
기후재앙의 시대, 대학 교재 기후변화 비중은 오히려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이런 경향은 인간이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기후변화
숙명
론적인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비관했다. 시간이 흐르며 기후변화를 다루는 섹션의 위치도 달라졌다. 1970년대에는 책 전체에서 뒷부분 약 15%에 위치했는데 2010년대에 들어서자 책의 마지막 2.5%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두에게 잘 할 수 없는 이유
2022.10.08
타인을 신경 쓰면서 항시 다소 과부하 상태가 되는 것은 사회적 동물로써 짊어져야 하는
숙명
또는 저주 같은 것이라고나 할까. 사람 한 명을 대할 때에도 위와 같은 복잡한 뇌 기능을 풀로 돌려야 하기 때문에 여러 사람을 동시에 신경쓰려고 하면 금세 피곤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아무리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을 태풍은 정말 더 잦고 강력해졌을까
2022.09.14
수 없다. 태평양 서쪽 끝자락의 중위도에 위치한 우리에게 태풍은 절대 외면할 수 없는
숙명
과도 같은 것이다. 우리가 기상관측을 시작한 1904년 이후 올해까지 119년 동안 무려 371개의 태풍이 한반도를 관통하거나 스쳐 지나갔다. 매년 3.1개의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셈이다. 여름철인 7월과 ... ...
미국의 탄소중립 노력은 곡물 재배에서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28
폴 제슈케 씨는 최근의 기후변화에 대해 “농부는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숙명
”이라며 “최근 농업에 요구되는 탄소중립 역시 농부가 적응해야 하는 새로운 환경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이 같아 순배출량이 ‘제로(0)’가 되는 것을 뜻한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