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싹
맹아
싹눈
새순
아
움
소년
뉴스
"
싹
"(으)로 총 157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우리도 가질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4.04.06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실험 결과 치아를 만드는 상피 조직이 커질 뿐 치아
싹
이 새로 나지는 않았습니다. (doi: 10.1111/cpr.12729) 가레스 프레져 미국 플로리다대 생물학과 교수는 척추동물의 이빨과 피부 부속기관 등을 통한 생물의 진화와 재생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상어의 이빨 재생 방식을 ... ...
"막무가내식 규제완화가 오히려 신산업
싹
자를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DGIST) 책임연구원. DGIST 제공 ‘막무가내식 규제완화’는 신산업 성장의
싹
을 자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신산업 창출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 방향성은 산업을 성장시키는 데 최적화된 규제 전환과 규제 설정이라는 분석이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윤진효 전자정보시스템연구부 ... ...
사자·코끼리 생태도 바꿨다…사바나 먹이사슬 '
싹
' 바꾼 개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토종 아카시아 개미들이 유입종 큰머리 개미에 밀려 사라지면서 생태계에 큰 변화가 생겼다 . 메레디스 팔머 제공 작은 개미들이 거대한 코끼리로부터 나무를 보호하고 사자의 사냥 성공률을 떨어트리기도 한다. 제이콥 고힌 미국 와이오밍대 동물생태진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아프리카의 토종 아 ... ...
거대 유인원 멸종한 이유…친척들과 달리 환경 적응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적응하지 못했다. 중국 오랑우탄은 식생이 변화한 후에도 환경에 잘 적응했다. 나무 새
싹
과 잎, 곤충, 작은 동물로 먹이를 확대했다. 양질의 식단을 섭취하면서 남아있는 치아 화석에는 큰 손상이 없었다. 반면 기간토피테쿠스 블래키는 이 시기부터 영양 섭취에 어려움을 겪으며 스트레스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이들은 볏과 식물인 갈풀의 어린 식물체를 대상으로 실험했다. 외떡잎식물의 씨앗이
싹
이 틀 때 처음 나오는 어린잎은 자엽초라는 보호기관에 둘러싸여 있다. 다윈 부자는 자엽초 윗부분을 없애거나 빛이 통하지 않은 덮개를 씌우면 자엽초가 굴광성을 보이지 않음을 보였다. 이는 자엽초 ... ...
"하루 7시간 꼭 잘 필요 없다"… 꿀잠도 '양보단 질'
동아사이언스
l
2023.11.24
강의하는 김재경 IBS 수리 및 계산과학 연구단 의생명 수학 그룹 CI.과학기자협회 피로가
싹
풀리는 '꿀잠'을 위해 반드시 하루 7~8시간의 수면 시간을 지켜야하는 건 아니라는 전문가 의견이 제기됐다. 절대적인 수면시간보다는 언제 잠들고 언제 일어나느냐가 좋은 수면을 결정짓는다는 설명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안 가는 측면이지만 당근의 성장 과정을 보면 이해가 된다. 야생 당근은 1년생 풀로
싹
이 터 잎이 나고 자라다가 추대(bolting)로 불리는 꽃줄기가 올라와 꽃이 피고 열매(씨앗)를 맺는다. 일단 추대가 올라오면 뿌리는 더이상 자라지 않는다. 그런데 개화 시기를 조절하는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 꽃이 ... ...
[특별기고] ①R&D예산 삭감은 '저수지 고갈'시키는 것
2023.10.10
팬데믹 위험의 경고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분야 연구개발에 뿌려진 씨앗이 막
싹
을 틔우려는 시점에 거름과 물을 거두는 것은 그리 지혜로운 선택이 아닐 것이다. 이준행 전남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 전남대 ... ...
뇌세포로 만든 '바이오컴퓨터'가 게임도 했다
과학동아
l
2023.06.17
. Cortical Labs “5년 내 신약 개발에 쓰일 것” 뇌세포 바이오컴퓨팅 연구는 이제 막
싹
을 틔운 단계다. 점점 더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하퉁 교수는 “전 세계 80개 이상의 연구 그룹이 OI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며 “최근 미국국립과학재단(NSF)에서도 관련 연구 프로그램 ... ...
"접시에서 뇌세포로 만든 바이오컴퓨터, 5년 내 상용화"
과학동아
l
2023.06.05
정보로 더 빠르게 후보물질을 탐색할 수 있다. 뇌세포 바이오컴퓨터 연구는 이제 막
싹
을 틔운 단계다. 지난 2월 국제학술지 ‘프런티어즈 인 사이언스’에는 뇌세포 바이오컴퓨터가 100만 배 적은 전력으로 기존 슈퍼컴퓨터와 비슷한 성능을 낼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연구논문으로 실렸고,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