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싹
맹아
싹눈
새순
아
움
소년
뉴스
"
싹
"(으)로 총 15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일어난 결과다. 그런데 전반적으로 세포가 작아져 키(줄기)뿐 아니라 잎도 작아졌고
싹
이 텄을 때 먼저 지상으로 나오는 부분인 자엽초도 짧다. 따라서 반왜성 밀을 파종할 때는 50㎜ 깊이로 얕게 묻는다. 그런데 호주처럼 기후변화로 꽃이 피고 밀알이 여물 무렵 고온과 가뭄이 지속되는 곳에서는 ... ...
[카드뉴스] 내 몸에 맞는 생체시계 공부법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적게 자면 해마가 시간이 없어 처리하지 못한 정보를 모두 필요 없는 기억으로 분류해
싹
지워버리는 ‘사고’가 일어나고 맙니다. 그렇다면 제대로 공부하는 습관은 무엇일까요? 사람의 신체기관은 생체시계로 인해 시간에 따라 기능이 달라집니다. 생체시계는 햇빛의 양에 따라 호르몬 분비와 ... ...
남극에 온실을 지었다...지구서 조종하는 우주인용 식물 재배 시스템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팔도 개발중이다. AI로 구동되는 로봇 팔은 다양한 각도에서 식물을 촬영하고 죽은 잎과
싹
을 잘라내며 수확까지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슈베르트 연구원은 “우주인에게는 온실을 관리할 만한 시간이 없어 AI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궁극적으로는 달이나 화성에 무인 자율 온실 시스템을 보내 ... ...
2만4000년간 얼어있다 부활한 미생물, 번식도 성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8
연구 결과가 나왔고, 그보다 전인 2012년에는 3만2000년 된 영구동토층에서 나온 씨앗이
싹
을 틔운 사례도 보고됐다. 2018년에는 3만 년 된 북동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서 나온 선충류가 부활한 사례도 발표됐다. 극한 환경에서 잘 버티는 담륜충은 영하 20도에서 6~10년을 버티는 게 지금까지 최장 ... ...
[인간 행동의 진화] 아빠의 진화
2021.04.18
옷도 가볍게 만들어 입으면 그만이다. 씨를 뿌리면 금방
싹
이 나고, 낟알이 왕창 달린 수확물을 일년에 여러번 얻을 수 있다. 농사에 실패해도 걱정 없다. 강과 바다에 물고기도 많고, 사냥할 날짐승, 들짐승도 많다. 심지도 거두지도 않는데, 탐스러운 과일이 주렁주렁 ... ...
브로컬리를 먹지 않고 뒀더니
팝뉴스
l
2021.03.08
이미지 공유 사이트에서 주목을 받은 것인데, 브로콜리를 먹지 않고 뒀더니 이렇게
싹
이 나고 꽃까지 피었다고 한다. 브로콜리의 아름다운 자태(?)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다. 또 이렇게 아름다운 꽃을 잠재한 식물을 먹는 게 갑자기 미안하다고 말하는 댓글도 보인다. ※ 편집자주 ... ...
크리스마스 트리는 알고보면 '한국산'··· 멸종위기의 구상나무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20.12.12
발아시키더라도 발아율이 50% 정도에 그친다. 하지만 배아줄기세포를 분화시켜 만든 새
싹
을 활용하면 씨앗을 발아시키는 과정 없이도 어린 구상나무를 많이 얻을 수 있다. 김 전임연구원은 “구상나무의 배아줄기세포는 야생식물종자 영구저장시설인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시드볼트에 보관할 ... ...
[화보+] 박쥐 손질하는 야생동물 시장 상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잎이 나란히 자란다는 특징을 가졌다. 두꺼운 껍질을 가졌으며 화재를 겪고 나서도
싹
이 잘 난다는 특징도 가졌다. 화산 폭발이나 화재를 겪는 산등성이에서 이 나무를 자주 볼 수 있는 이유다. 최대 50m까지 자라며 1000년 이상도 살 수 있다. 칠레 중남부와 아르헨티나 서부가 원산지다. 18세기 후반 ... ...
[과학게시판] 디지털역량센터 네이밍 및 슬로건 공모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14
장려상은 한국정보화진흥원장상과 20만원이 주어진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14일 ‘
싹
, 꽃, 핌’이라는 제목의 기업지원 성과사례집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사례집은 지난 20년간 기업 지원 사례를 분석했다. 생명연의 기업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이를 통한 성과와 과정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 ...
'햄버거병' 피하려면…"충분히 익혀 먹고 주방 기구는 청결히"
연합뉴스
l
2020.06.29
과일도 위험할 수 있다. 실제로 2011년 독일에서는 장출혈성대장균에 오염된 채소(호로파
싹
)가 원인이 돼 대규모 감염이 생겨 3천816명의 장염 환자 중 845명(22%)이 HUS로 진행해 54명이 숨졌다. 2012년 일본에서 배추절임을 먹고 100여 명의 환자가 발생해 7명이 사망했다. [제작 정유진. 사진합성.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