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면
쌍방
겸용
둘다
옆
옆면
측면
뉴스
"
양쪽
"(으)로 총 578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철 뇌졸중·심근경색 조기 증상은…"골든타임 내 치료 중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1.26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증상 등이 있다. 갑자기 한쪽 눈이 보이지 않거나
양쪽
눈 시야의 절반이 보이지 않거나 물체가 2개로 보이기도 한다. 어지럽거나 몸의 중심을 잡기 힘들고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심한 두통이 발생할 수도 있다. 심근경색증은 갑자기 가슴에 심한 통증이나 ... ...
[동물do감] 하루에 43.7mm 움직이는 버섯산호…"그들에겐 전력질주"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들어가는 것과 비슷한 청색광을 비췄다. 수조 한쪽 끝에서 한 종류의 빛만 비추거나 수조
양쪽
끝에서 백색광과 청색광을 각각 동시에 비췄다. 3번의 실험 결과 버섯산호는 청색광을 선호하며 빛이 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했다. 연구팀은 "산호는 빛과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피해 더 그늘진 곳으로 ... ...
우리 아이 어깨 높이 다르면 척추측만증 의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1.12
어깨 높이가 다르다면 척추측만증이 의심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양쪽
어깨 높이가 다르고 한쪽 등이 튀어나왔다면 ‘척추측만증’을 의심해야 한다. 사춘기 전 많이 나타나고 가족력이 있으면 발생률이 크게 높아지니 겨울방학 동안 자녀의 상태를 잘 살펴보는 것이 좋겠다. 척추가 휘는 ... ...
'빙글빙글 어질' 이석증…"물리치료만으로도 치료 효과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4.12.22
상관없이 안구가 특정한 방향으로 반복해서 튀는 움직임이다. 전 교수는 “이석증은
양쪽
귀 3개의 반고리관에서 각각 발생할 수 있고 2개 이상의 반고리관에 동시에 생기는 다발성 이석증이나 보다 비전형적인 기타 아형들로 나타날 수 있다”며 “의료진이 이런 부분에 대한 세부 지식을 ... ...
60년 수학 난제 '소파 움직이기 문제' 국내 20대 수학자가 풀어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변의 길이가 각각 1과 4/π인 직사각형에서 반지름 2/π인 반원을 파냈다. 그런 뒤
양쪽
에 반지름이 1인 4등분한 원 2개를 붙여서 전화기 모양의 소파를 만들었다. 1992년 미국 수학자 조셉 거버는 헤머슬리의 소파를 발전시켜 2.2195라는 더 큰 면적 값을 구했다. 소파가 벽에 닿는 순서를 고려해 소파의 ... ...
BCI 어벤져스 모인 '뉴로X 연구소'에 가다
과학동아
l
2024.11.23
뇌와 두개골 사이 뇌막의 가장 바깥층인 '경막' 위에 임플란트를 이식받았다. 두개골
양쪽
에 지름 5cm 구멍을 낸 다음 뇌에 닿지 않게 뇌 임플란트를 이식하고 이 임플란트가 받는 신호는 오스캄이 쓰고 있는 헬멧으로, 또 헬멧에서 척수 임플란트로 전달되도록 했다. 임상시험 참가자가 이식받은 뇌 ... ...
줄기세포 치료법으로 시력 회복 길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0
조약돌 모양의 얇고 투명한 각막 조직으로 만들었다. 2019년 6월에서 2020년 11월 사이에
양쪽
눈에 LSCD가 있는 39세에서 72세 사이의 여성 2명과 남성 2명에게 이 각막 조직을 이식했다. 손상된 각막을 덮고 있는 조직을 긁어낸 다음 각막 조직을 이식하고 그 위에 부드러운 보호 콘택트렌즈를 얹었다. ... ...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과학 시상식…2024 이그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1.09
수도 있지만, 아마 아닐 것이다" - 로만 콘사리 사람의 정수리를 보면 머리카락이
양쪽
으로 나뉘는 지점이 있는데 이를 '가마'라고 합니다. 로만 콘사리 프랑스 파리시립대 의대 교수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북반구 사람들의 가마는 시계 방향으로 남반구 사람들의 가마 방향은 반시계 방향으로 ... ...
거제서 스테고사우루스류 발자국 발견..."기존 예측과 다른 활동시기"
동아사이언스
l
2024.10.21
잘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발자국의 길이를 알면 발끝부터 골반까지의 높이를,
양쪽
발 사이의 거리인 ‘보폭’을 알면 보행 속도를 유추할 수 있다. 이번 발견은 한국에서 백악기 생물의 발자국 화석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김 교수는 "한국은 단일 면적당 공룡 발자국 수가 ... ...
상처 입으면 몸 합체하는 해파리들…소화관도 융합돼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융합체의 한쪽 입에 새우를 먹이자 음식물 입자는 융합된 관을 통과한 뒤 융합되지 않은
양쪽
항문에서 모두 배설물을 내보냈다. 배출이 동시에 이뤄지지는 않았다. 연구팀은 "빗해파리는 자신의 조직과 다른 동종의 조직을 구별하는 '동종 인식 메커니즘'이 부족할 수 있다"며 "두 개체가 하나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