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면
쌍방
겸용
둘다
옆
옆면
측면
뉴스
"
양쪽
"(으)로 총 578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강진 원인 지하수·활단층·지질학적 특성 등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1.02
지진이 역단층형 지진일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역단층형 지진은 단층의 갈라진 면에서
양쪽
으로 힘이 작용하면서 한쪽 단층이 다른 단층 위에 올라타게 되는 형태다. 지하수의 상승이 이번 역단층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지진 발생 지역의 지표면 융기와 진원 이동 등의 양상으로 미루어봤을 때 ... ...
손바닥 냄새로 성별 구분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12.24
연구팀은 1시간 동안 손을 씻지 않은 남녀 각 30명의 손바닥을 거즈로 닦았습니다. 이후
양쪽
손바닥 사이에 거즈를 10분 동안 끼워 놓고 손바닥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추출했습니다. 연구팀은 질량분석기로 60개의 분비물 샘플을 분석했습니다. 질량분석기는 화학물질의 질량을 분석해 분자의 ... ...
[주말N수학] KAIST 퍼즐 동아리가 밝힌 '데블스 플랜'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23.12.24
Y와 R이 저울에 올려져 있을 때 Y가 있는 곳에 P, R이 있는 곳에 Y를 놓아요. 그러면 Y가
양쪽
에 있어 둘이 상쇄돼 P가 R보다 크다는 중요한 정보를 알 수 있었어요." 황정빈 "저는 광물 중에 5g 미만의 광물이 하나쯤 있을 거라 생각했어요. 5g 이상의 광물만 있으면 양팔 저울의 균형을 맞추기 어려워서 ... ...
전압 따라 달라지는 물 분자, 펨토초 단위로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12.20
양쪽
끝은 금 전극, 왼쪽 전극 옆에는 흡착된 분자, 두 전극 사이에는 물 분자들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 IBS 제공. 전극 표면에 있는 극소량의 물 분자를 직접 관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국내 연구팀이 전압에 따라 달라지는 전극 표면의 물 분자 움직임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수전해를 ... ...
[과기원NOW] GIST, 난치성 신경질환 치료법 개발 위한 연구단 개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1
보인다. 연구팀은 이 분자에 황산아연염을 녹여 젤 형태의 전해질을 만들었다. 그 결과
양쪽
성 이온분자와 황산아연 이온 사이에 견고한 결합이 생겼으며 전해질 농도가 진해질수록 이온이 균일하게 분포되며 전지의 안정성을 높였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10월 23일 ... ...
[표지로 읽는 과학] 불가사리가 별 모양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11.18
유전자들은 다섯 방향의 끝쪽에서만 살짝 발현된다는 점도 확인됐다. 불가사리는
양쪽
대칭을 이루는 동물들이 갖고 있는 몸통 부위에 해당하는 유전자는 매우 부족한 반면, 다른 동물의 머리 부위에 해당하는 유전자들은 많이 갖고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불가사리와 같은 극피동물은 다른 ... ...
"남성 ADHD, 원추각막과 관계있다"
연합뉴스
l
2023.11.13
얇아지면서 뾰족하게 돌출하는 진행성 각막 질환으로 시력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한다.
양쪽
눈에 시간 차이를 두고 발생하며 사춘기 전후로 시작되어 천천히 진행되다가, 어느 단계에 이르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스라엘 샤미르 메디컬 센터 안과 전문의 마르가리타 ... ...
[잠깐과학] 2000년 11월 2일 국제우주정거장 우주비행사 첫 탑승
어린이과학동아
l
2023.11.11
활성화했습니다. 또 태양 전지판을 싣고 온 우주 왕복선 엔데버호의 도움을 받아 ISS의
양쪽
가장자리에 태양 전지판 날개를 설치했어요. 덕분에 ISS의 전력이 5배로 늘어날 수 있었습니다. 이 밖에도 ISS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승무원의 심박수를 평가하는 등 정거장에서 우주인들이 ... ...
걷기 어려운 파킨슨병 환자 6km 장거리 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수 있는 임플란트를 삽입했다. 파킨슨병 환자는 해당 임플란트 수술을 받은 뒤
양쪽
다리에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착용하게 된다. 환자가 보행을 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해 삽입한 임플란트가 자동으로 켜지면서 척수 신경세포에 전기 자극을 가하게 된다. 이를 통해 뇌에서 다리로 이어지는 ... ...
커피 향, 콧구멍
양쪽
으로 뇌에 '입체적 전달'
동아사이언스
l
2023.11.05
전달될 때 더 빨리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처럼
양쪽
콧구멍으로 각기 신호가 전달되는 ‘이중신호’가 발생하는 이유는 오류를 확인하는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해석했다. 냄새의 근원을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하나의 냄새 신호를 전달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