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공학"(으)로 총 1,331건 검색되었습니다.
- 美 여성, 이식된 돼지 신장 130일 만에 제거동아사이언스 l2025.04.13
- 유전자 교정 돼지의 신장을 이식받은 미국의 50대 여성이 이식 130일 만에 신장을 제거했다. 신장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유전자 교정 돼지의 신장을 이식받은 미국의 50대 여성이 이식 130일 만에 신장을 제거했다. 돼지 신장이 사람에게 이식돼 가장 오랜 기간 기능을 유지한 사례로 ... ...
- 혈관과 소통하는 암, 실시간으로 본다…상호작용 모사 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2025.04.10
- 암세포와 혈관 간 상포작용을 실제 인체 환경처럼 정밀하게 모사하고 분석하는 칩 기술을 개발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 왼쪽부터 김준영 연구원, 조윤경 교수, 노주영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암세포와 혈관 간 상호작용을 실제 인체 환경처럼 정밀하게 모사하고 실시간으로 분 ... ...
- 멸종동물 다이어울프 '부활'에 줄비판…"유전자 바꾼 회색늑대 불과"동아사이언스 l2025.04.10
- 2024년 10월 1일 태어난 '다이어울프' 로물루스와 레무스. Colossal Biosciences 제공 생명공학 기술로 멸종동물을 복원하는 미국 기업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시스(콜로설)'가 멸종된 다이어울프 복원에 성공했다고 발표하자 과학자들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다이어울프 연구를 포함해 콜로설에서 진행하 ... ...
- '왕좌의 게임' 늑대 부활…1만2500년전 멸종 '다이어울프' 복원동아사이언스 l2025.04.08
- 2024년 10월 1일 태어난 '다이어울프' 로물루스와 레무스. Colossal Biosciences 제공 생명공학 기술로 멸종 동물을 복원하는 미국 기업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시스(콜로설)'가 아메리카 대륙에 살다가 멸종한 늑대 종인 다이어울프(학명 Aenocyon dirus)와 비슷한 늑대 3마리를 탄생시켜 공개했다. 다이어울프는 ... ...
-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나노입자 결합시켜 열로 제거한다동아사이언스 l2025.04.08
- 류충민 생명연 감염병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바이오나노 기술을 이용해 슈퍼박테리아를 제어할 수 있는 금나노입자와 지질나노입자 기반의 신규 항생제를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바이오나노 기술을 이용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슈퍼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제어 ... ...
- 면역항암 방해 핵심인자 찾았다…폐암 새 치료길 열어동아사이언스 l2025.04.08
- (왼쪽부터) 이정은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석사, 조광현 교수, 공정렬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사. KAIST 제공. 면역항암치료를 방해하는 핵심인자가 발굴됐다. 발굴된 핵심인자를 억제하면 암 조직으로 면역세포 침투가 증가해 치료가 크게 개선된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더 잘 ... ...
- 235종 화학물질 친환경 생산…'세포공장 설계도' 완성동아사이언스 l2025.04.07
- (윗줄 왼쪽부터)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지홍근 생명화학공학과 박사과정, (아랫줄 왼쪽부터) 김기배 생명화학공학과 박사과정, 김하림 생명화학공학과 박사과정.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다양한 산업용 미생물의 생산 능력을 분석해 최적의 미생물 균주와 대사 공학 전략을 제시했다. 바이 ... ...
- "합성생물학 도약 기회…바이러스 만드는 '악용' 막는 규제 필요"동아사이언스 l2025.04.04
- 신진연구자 연사들이 3일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열린 ‘생물공학회 2025년도 춘계 국제학술대회’에서 포럼에 참석하고 있다. 문세영 기자. 세계 최초로 합성생물학을 육성하기 위한 법안이 국내에서 국회를 통과했다. 신진 연구자들은 국내 합성생물학 연구개발이 글로벌 속도에 맞춰 도약하는 ... ...
- "혈류 소용돌이 치는 곳에서 동맥경화증…유전자 치료 탐색"동아사이언스 l2025.04.03
- 조한중 미국 에모리대 의공학과 교수(왼쪽)가 3일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열린 ‘생물공학회 2025년도 춘계 국제학술대회’에서 죽상동맥경화증 치료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생물공학회 제공. "혈액의 흐름이 나빠지면 세포는 병이 들어요. 이를 세포에서 리프로그래밍이 일어났다고 합니다. 불 ... ...
- 아이 교실에 독감 바이러스 떠다닐까…공기 중 포집 분석 길 열려동아사이언스 l2025.04.03
- 독감 바이러스 이미지. 위키미디어 제공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질병이다. 국내 연구진이 실내 공기를 떠도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빠르게 찾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학교, 병원 등에서 독감, 코로나 같은 바이러스성 감염병을 조기에 감지하고 확산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