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공학"(으)로 총 1,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식물도 '자가면역질환' 있다…원리 규명해 품종개량 방향성 제시동아사이언스 l2025.07.21
- 식물 내 DM3 단백질 복합체 붕괴 시 식물 자가면역이 유발되는 과정. KAIST 제공 자가면역질환은 면역체계가 자신의 조직을 외부 침입자로 오인해 공격하는 질환을 말한다. 과학자들이 식물에서 나타나는 자가면역 반응의 원인을 규명해 신개념 품종 개량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KAIST는 송지준 생 ... ...
- 뇌 속 혈류 조절의 열쇠, 억제성 신경세포에서 찾아동아사이언스 l2025.07.21
- 연구에 참여한 (왼쪽부터) 임근호·보 떤 탄 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원, 김성기 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장, 정원범 한국뇌연구원 선임연구원(前 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연구교수), 진 통 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학생 연구원. 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억제성 신경세포가 뇌 혈류를 조절하는 핵심적 ... ...
- [재생의료 최전선]⑧ 파킨슨병 진행 되돌리는 세포치료제로 세계 시장 도전동아사이언스 l2025.07.18
- 조명수 에스바이오메딕스 연구소장이 인터뷰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편집자주] 첨단재생바이오법 개정안이 지난 2월 시행되면서 임상시험 목적으로만 허용되던 첨단재생의료가 치료 목적으로 활용 가능해졌다. 정부가 첨단바이오 기술을 국가 핵심전략기술로 지정하면서 ... ...
- 공기 중 떠다니는 항생제내성균, 유전자가위로 잡아낸다동아사이언스 l2025.07.17
- 공기 중에 떠다니는 항생제내성균을 잡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다. 부유하는 균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공기 속 항생제 내성균을 빠르게 찾아 빛으로 알려주는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병원, 학교, 공항 등 공공장소에서 감염병을 조기에 차단하는 데 보탬이 될 것으 ... ...
- 유전자가위와 도핑검사가 만났다…극소량 혈액만으로 도핑 빠르게 진단동아사이언스 l2025.07.16
- 유전자 가위를 활용해 도핑 여부를 고속으로 진단하는 방법이 개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유전자 가위를 활용해 도핑 여부를 고속으로 진단하는 방법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성창민 도핑콘트롤센터 책임연구원이 박희호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과 '크리스퍼 캐스- ... ...
- [재생의료 최전선]⑦ 세포 다루는 기술로 노화 정복까지 노린다동아사이언스 l2025.07.11
- 지난달 30일 경기 판교 메디포스트 본사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오원일 메디포스트 대표가 인터뷰하고 있다. 메디포스트 제공 [편집자주] 첨단재생바이오법 개정안이 지난 2월 시행되면서 임상시험 목적으로만 허용되던 첨단재생의료가 치료 목적으로 활용 가능해졌다. 정부가 첨단바이오 기술을 ... ...
- 피로해진 반도체 부품 회복시키는 기술동아사이언스 l2025.07.11
- 이장식 포스텍 반도체공학과 교수(왼쪽)와 도현서 학생. 포스텍 제공. 오래 사용해 성능이 떨어진 반도체 부품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혁신기술이 개발됐다.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등에 쓰이는 반도체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이장식 반도체공학과 교수 연구 ... ...
- 플라스틱 먹어 분해한 뒤 지방으로 저장하는 애벌레동아사이언스 l2025.07.11
- 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체내에서 분해해 지방으로 저장하는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 위키미디어 제공 플라스틱을 섭취한 애벌레가 대사작용을 통해 이를 분해하고 체내 지방으로 저장하는 새로운 생태적 메커니즘이 확인됐다. 플라스틱의 생물학적 분해 경로를 밝히고 이를 응용한 플라스틱 폐기 ... ...
- 폭염에도 버티는 식물의 단백질 조절, 분자 수준에서 확인동아사이언스 l2025.07.10
- 왼쪽부터 조승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연구원, 조혜선 책임연구원. 생명연 제공 인간을 포함한 동물은 더우면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거나 체온을 내리는 행동을 할 수 있지만 식물은 불가능하다. 움직일 수 없는 식물이 폭염에 맞서 살아남을 수 있는 비법이 분자 수준에서 ... ...
- 뇌, 포도당 선택적으로 인식…식욕조절 새 패러다임 제시할까동아사이언스 l2025.07.09
- KAIST 연구팀이 뇌가 포도당을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KAIST 연구팀이 뇌가 포도당을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향후 식욕 조절·대사성 질환 치료 전략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서성배 생명과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