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학생
동공
동자
눈동자
사람
자손
뉴스
"
제자
"(으)로 총 38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렌 버먼, 2024 노벨화학상 숨은 공로자
2024.11.13
제목의 회고록이 실렸는데 미국 결정학의 대부인 제프리 교수를 비중있게 다루며 그
제자
세 사람도 소개했다. 바로 김성호와 버먼, 시먼으로 이들의 취미 연구 프로젝트와 함께 그 뒤 세 사람이 이룬 주요 업적도 언급했다. 청출어람청어람(靑出於藍靑於藍)인 셈이다. 김성호 교수는 1974년 tRNA ... ...
XR 콘텐츠·게임으로 재탄생…국가유산 디지털콘텐츠 페어
과학동아
l
2024.11.09
연구원은 지도 교수인 김관명 교수의 제안으로 이번 경진 대회에 참가했다. 김 교수가
제자
에게 대곡천 유물을 소개했다. 국가유산 디지털콘텐츠 페어에서 흑요석 일러스트 작가가 한복이라는 국가문화유산을 현대 캐릭터로 재탄생시킨 계기에 대해 설명했다. 국가유산청 제공 반구대 암각화는 ... ...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이융조 이사장과 우종윤 원장이다. 두 사람은 충북대 역사교육과 스승과
제자
사이로 1998년과 2001년 발굴에 각각 책임자와 실무자로 참여했다. 잠시 얘기를 나눈 뒤 일행은 800m 떨어진 발굴 현장으로 이동했는데 실망스럽게도 현장은 잔디밭으로 바뀌어 있었다. 올해 83세인 이 이사장은 여전히 ... ...
"비싼 검사기기 대신할 '유연소자' 원격 모니터링 개발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교수는 한국인
제자
가 많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로저스 교수 연구실을 거친 한국인
제자
만 70명에 달할 정도다. 로저스 교수는 "일반화하고 싶지는 않지만 20년 전 연구실을 열 때 첫 번째 학생이었던 강달영 연세대 교수를 시작으로 한국 학생들 덕분에 많은 득을 봤다"며 "연구실의 3분의 1 정도가 ... ...
"연구책임자는 치어리더"…
제자
가 말하는 베이커 교수의 이유 있는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사이언스의 ‘최고의 연구 성과’로 선정될 정도로 획기적인 결과였다. 베이커 교수의
제자
들은 이같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베이커랩 특유의 자유로운 분위기였기에 나올 수 있었던 성과라고 강조했다. 베이커랩의 문화는 한국에서도 하나 둘 꽃피울 준비를 하고 있다. 이 교수는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인공지능과 물리학의 경계를 허물다
2024.10.11
이루어졌다. 그는 이곳에서 딥러닝 기술을 발전시키며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고, 특히
제자
인 알렉스 크리제브스키와 일리야 서츠케버와 함께 2012년 '이미지넷(ImageNet) 대회에서 딥러닝을 활용해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며 인공지능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 이들은 GPU를 활용한 딥러닝 코드와 ... ...
[노벨상 2024] 생명현상의 기본 '단백질' 설계·구조 예측 AI 개발 과학자들 화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세상을 혁신할 신약, 나노 물질, 백신 등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베이커 교수의
제자
중엔 다수의 한국인 연구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인물이 로제타폴드 개발을 주도한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다. 이밖에 박한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 ...
네이처 "주요 연구성과 발표 평균 20년 뒤 노벨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사례는 20세기 중반 이후로 뚝 감소했다. 노벨상을 이미 수상한 과학자나 그들의
제자
밑에서 공부하는 경우 노벨상 수상 확률이 높았다. 네이처는 수상자가 거주하는 지역에도 주목했다. 노벨상의 약 54%가 북미 지역에 사는 사람에게 돌아갔다. 네이처는 노벨상 수상을 노리는 과학자라면 ... ...
[추모의 글] 故 이진아 교수, 난치암 환자를 구하던 작은 거인
2024.09.23
3년 동안 밤 시간과 주말을 이용해 우리 연구실에서 일했던 인연이 닿아 이제까지
제자
이상으로 친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이진아박사와 장철순 박사의 박사후연구원 시절 두 사람의 신혼여행지는 하와이처럼 아름다운 휴양지가 아니었습니다. 두 사람은 저와 함께 미국 유타에서 열리는 키스톤 ... ...
"기후·건강·주식 예측의 출발점은 미적분"…'수학이 생명의 언어라면' 펴낸 김재경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9.18
기초과학연구원(IBS) 의생명수학그룹 CI & KAIST 교수. 수학동아 제공 "이 책은
제자
에게 건네는 18년 늦은 답입니다." 지난 5일 첫 발행된 뒤 일주일 만에 베스트셀러에 오른 '수학이 생명의 언어라면'의 저자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를 직접 만났다. 책에 관한 화두를 던지자 이처럼 언뜻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