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학생
동공
동자
눈동자
사람
자손
뉴스
"
제자
"(으)로 총 38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미지를 자연어로 설명하는 AI모델...편견 최소화·맥락 파악이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23.06.19
교수 연구실 소속으로 독일 막스플랑크 정보과학연구소장인 번트 쉴레(Bernt Schiele) 교수
제자
다. 로르바흐 연구원은 “특히 뉴스의 경우 뉴스 캡션(Caption·사진에 붙인 설명)을 AI가 생성하려면 기사 내 데이터 문맥을 잘 선택하는 게 중요하다”며 “통상적으로 캡션은 일부 문장에 의해서 ... ...
[주말N수학] 과학영재학교 합격 비결...수학 아이디어 공책과 '폴리매스'
수학동아
l
2023.06.04
서술하며 한과영에서 R&E를 통해 연구 역량을 키우고, 미래엔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제자
들과 소통할 수 있는 교수가 되고 싶다고 적었어요. 두 번째 질문은 학교와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자신을 소개하는 거예요. 초등학교 시절 텃밭을 가꾸며 자연을 관찰한 뒤 생긴 궁금증에 답을 얻는 과정에서 ... ...
[주말N수학] 그림 그려 물리방정식 푸는 카파렐리 교수, 2023 아벨상 영예
수학동아
l
2023.05.28
교수님을 지도교수님으로 만났다는 것 자체가 행운이고, 저도 교수님께 배운 것을 제
제자
들에게 돌려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 카파렐리 교수님은 저보다 언제나 발걸음이 빠르셨어요. 축구도 굉장히 잘하셨던 걸로 기억합니다. 앞으로도 건강하게 오래오래 연구를 하시길 기원합니다. ... ...
[과찬의 말씀] VR로 숲 구현해 장애인 재활...삶의 용기를 선물하는 의사
2023.05.18
20년 전과 같았지만 그 깊이가 보다 깊어져 더 넓은 품을 느끼게 했다. “몇 년 전
제자
들이 저에게 예쁜 곰인형을 선물해 줬어요. 그런데 주변에서 그 곰인형을 보면서 ‘곰돌이 푸우’ 닮았다고 하더라구요.(웃음)” 배하석 교수를 아는 사람이라면 그의 푸근한 인상과 권위적이지 않은 소통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9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학자, 정신병원에 수용된 사연
2023.03.28
거구 시체의 해부(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8947)'에서 소개한 헌터(John Hunter)의
제자
로 런던에서 공부를 하기는 했지만 조용한 시골에서 개업한 평범한 의사 중 한 명에 불과했다. 제너가 역사적으로 수시로 인류를 위협했고, 특히 18세기 영국에서 수시로 생명을 위협하던 두창(천연두)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2023.03.14
가르치는 교육기관을 연 상태였다. 이 사교육기관에서 시체 해부를 가르치는 형의
제자
이자 조수로 일하면서 의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형제는 12년간 함께 일하면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새로운 해부학 지식을 쌓아 갔다. 존 헌터는 산모로부터 태아로 태반을 통해 물질이 오가는 과정,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결과 질병 치료효과가 전보다 훨씬 좋아지자
제자
들이 모여들었다. 히포크라테스를 받든
제자
들은 의학을 더 공부하고 연구했고, 이에 따라 의학은 더 발전했다. 히포크라테스가 의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것이다. 역사상 의학 발전에서 패러다임을 바꿀 만한 발견은 수시로 나타났다. 16세기에 ... ...
[일상속 뇌과학] 젊은 피 수혈받으면 회춘할 수 있을까
2023.01.27
기록은 성경에서 피를 마시지 못하게 하는 계율을 기록하거나 최후의 만찬 동안 예수가
제자
들에게 포도주를 건내며 ‘이것은 나의 피’라고 하는 장면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옛 민간요법 중 하나로 죽어가는 사람을 살리는 방법으로 손가락을 끊어 피를 먹이는 것이 있었다. 이러한 ... ...
과학자들이 손을 안 씻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1.23
발견하는 사례도 있다. 사카린은 1879년 아이라 렘슨 미국 존스홉킨스대 교수와 그의
제자
콘스탄틴 팔베르크에 의해 발견된 물질이다. 대학원생이었던 팔베르크는 연구를 마치고 집에 돌아와 저녁식사를 하던 중 그날따라 유독 빵이 달다고 생각했다. 그는 곧 자신의 손에 닿은 음식이 모두 달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콜레라균이 콜레라의 원인이라는 주장에 동의하는 학자들이 많아지면서 페텐코퍼의
제자
들이 콜레라균이 들어 있는 용액을 마셨다가 콜레라가 발생한 후에야 자신의 주장을 거둬들였다. 과학적으로는 이해 불가능한 이 사건에 대해 오늘날에는 페텐코퍼가 흥분한 상태로 콜레라균을 들이키는 동안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