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염
고양이 수염
촉각
뉴스
"
촉수
"(으)로 총 45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코로나 백신은 예방 효과 불가능, 백신 안에 미생물 살아"....전문가들 "엉터리 주장"
동아사이언스
l
2021.12.25
움직였다"며 "또 다른 건 머리와 꼬리 쪽에 털이 난 이상한 모양으로 끝에 튜브처럼 긴
촉수
가 달려 있어 흡사 갈고리 촌충처럼 보였다"고 말했다. 그 다음날인 15일 기생충 전문가인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백신은 매우 엄격한 무균상태에서 제조되고, 화이자 같은 ... ...
[지구는 살아있다] 해양동물은 죽어 돌이 된다
2021.07.24
퇴적되어 만들어진 암초인 산호초는 다양한 어류의 서식지가 되고 있습니다. 산호는
촉수
를 이용해 플랑크톤을 잡아먹는 자포동물입니다. 열대나 아열대의 얕은 바다에는 수많은 산호충이 모여 산호가 자라는데, 오랜 시간 자란 산호를 비롯한 여러 생물의 유해가 쌓이면 섬을 둘러싼 둥그런 ... ...
[화보+]'찰칵' 바다문어가
촉수
로 찍은 셀피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문어 옆에 사진기를 살포시 놓았고, 문어는 곧 다리로 사진기를 감쌌다. 문어 다리의
촉수
가 카메라 셔터를 눌러 대기 시작했다. 이 사진은 문어가 직접 찍은 사진으로 오른쪽 위에 있는 여성은 사진 작가본인, 아이는 작가의 아들이다. 지난 28일(현지시간) 2020년 해양예술 수중사진 공모전 결과가 ... ...
칙 뿌리면 코로나19 감염 막아요…바이러스 세포에 접근 막는 스프레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2(SARS-CoV2)는 돌기처럼 난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세포에 침투한다. 스파이크 단백질이
촉수
처럼 길게 늘어나며 세포에 결합한 후 단백질을 구부려 바이러스 막이 세포에 가까이 다가가도록 한다. 이후 유전물질을 주입해 자신을 복제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리포펩타이드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 ...
당신의 개와 고양이, 신종 코로나에 무사한가요?
연합뉴스
l
2020.08.24
공개했다. 24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는
촉수
처럼 뻗은 '스파이크 단백질'로 세포 표면의 ACE2 수용체와 결합해야 세포 내로 들어갈 수 있다. '앤지오텐신 전환 효소 2'라는 의미를 가진 이 ACE2 단백질은 신종 코로나의 '세포 패스'와 비슷하다. ACE2는 ... ...
팔라우에선 자외선 차단제 바르지 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1.02
해양생물들의 서식지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지구 온난화 완화에도 기여한다. 산호의
촉수
가 광합성을 하면서 바닷속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뿜어낸다. 의약품 재료나 장신구로도 쓰인다. 이런 산호에 자외선 차단제에 들어있는 화학 성분은 치명적이다. 자외선 차단제 속 대표적 ... ...
[화보+]영국왕립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사진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물고기가 해파리를 잡아먹는 현장을 담은 것이다. 해파리가
촉수
를 움직여 바닷속을 헤엄칠 수 있는 빠르기는 제한적이다. 어떤 물고기들은 커다란 해파리를 은신처로 이용하기도 한다. 알렉스 라부다/영국왕립학회 제공 마이크로이미지 부문 준우승작인 '액체자석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지구온난화가 산호 번식을 가로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8
홍해에 서식하는 산호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산호는 입 부분에 있는 수없이 많은
촉수
를 이용해 동물성 플랑크톤을 잡아먹는 동물이지만 18세기까지만 해도 식물로 분류됐다. 산호가 만들어 내는 석회암은 시멘트의 원료가 되는 등 인류에게 유용한 존재다. 최근 지구온난화가 가속되면서 세계 ... ...
4억 3000만 년 전 해삼의 조상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19.04.30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연구팀은 솔라시나 크툴루가 거미 정도의 크기였으며, 45개의
촉수
로 해저 바닥을 기어 다니면서 먹이를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계통학적으로는 극피동물문에 속해 해삼류의 먼 조상 생물이었을 것으로 분석됐다. 데릭 브릭스 예일대 지질학및지구물리학과 교수는 ... ...
여름 바다의 적 거대 독 해파리의 비밀, 게놈 해독으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수는 사람(30억 쌍)의 15분의 1 수준인 2130만 개였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를 분석해 먼저
촉수
로 먹이를 잡을 때 독액을 만드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았다. 그 결과 관련된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 영역의 개수가 증가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노무라입깃해파리의 대량번식에 관여하는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