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촉수"(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2023.10.27
- 시각적인 정보를 적극 활용하여 장애물을 피하거나 능동적으로 먹이를 따라가 독이 있는 촉수 내 자포들로 사냥할 수도 있다. 이들에게는 뇌가 존재하지 않지만, 최근 연구 결과(doi.org/10.1016/j.cub.2023.08.056)에 따르면 로팔리아라는 시각계가 뇌의 역할을 수행하여 학습능력을 갖추는 것으로 보고 ... ...
- [과기원은 지금]세포 사이 잇는 터널링 나노관 형성과정 최초 규명 外동아사이언스 l2022.04.13
- 세포 사이를 잇고 있다.다. 연구팀은 초고해상도 현미경과 광학 집게로 필로포디아라는 촉수가 결합해 폐쇄형 터널링 나노관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포착했다. 연구팀은 또 폐쇄형 나노관을 통해 칼슘이온이 세포 사이에서 전달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KAIST는 한동수 전기및전자공학부 ... ...
- [팩트체크]"코로나 백신은 예방 효과 불가능, 백신 안에 미생물 살아"....전문가들 "엉터리 주장"동아사이언스 l2021.12.25
- 움직였다"며 "또 다른 건 머리와 꼬리 쪽에 털이 난 이상한 모양으로 끝에 튜브처럼 긴 촉수가 달려 있어 흡사 갈고리 촌충처럼 보였다"고 말했다. 그 다음날인 15일 기생충 전문가인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백신은 매우 엄격한 무균상태에서 제조되고, 화이자 같은 ... ...
- [지구는 살아있다] 해양동물은 죽어 돌이 된다2021.07.24
- 퇴적되어 만들어진 암초인 산호초는 다양한 어류의 서식지가 되고 있습니다. 산호는 촉수를 이용해 플랑크톤을 잡아먹는 자포동물입니다. 열대나 아열대의 얕은 바다에는 수많은 산호충이 모여 산호가 자라는데, 오랜 시간 자란 산호를 비롯한 여러 생물의 유해가 쌓이면 섬을 둘러싼 둥그런 ... ...
- 칙 뿌리면 코로나19 감염 막아요…바이러스 세포에 접근 막는 스프레이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1.02.18
- 2(SARS-CoV2)는 돌기처럼 난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세포에 침투한다. 스파이크 단백질이 촉수처럼 길게 늘어나며 세포에 결합한 후 단백질을 구부려 바이러스 막이 세포에 가까이 다가가도록 한다. 이후 유전물질을 주입해 자신을 복제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리포펩타이드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 ...
- 팔라우에선 자외선 차단제 바르지 마세요동아사이언스 l2020.01.02
- 해양생물들의 서식지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지구 온난화 완화에도 기여한다. 산호의 촉수가 광합성을 하면서 바닷속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뿜어낸다. 의약품 재료나 장신구로도 쓰인다. 이런 산호에 자외선 차단제에 들어있는 화학 성분은 치명적이다. 자외선 차단제 속 대표적 ... ...
- [표지로 읽는 과학]지구온난화가 산호 번식을 가로막는다동아사이언스 l2019.09.08
- 홍해에 서식하는 산호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산호는 입 부분에 있는 수없이 많은 촉수를 이용해 동물성 플랑크톤을 잡아먹는 동물이지만 18세기까지만 해도 식물로 분류됐다. 산호가 만들어 내는 석회암은 시멘트의 원료가 되는 등 인류에게 유용한 존재다. 최근 지구온난화가 가속되면서 세계 ... ...
- [표지로 읽는 과학]생명체가 처음 등장한 캄브리아기를 탐험하다동아사이언스 l2018.11.24
- 집중적으로 탐사하고 있다. 일례로 2015년 몸길이가 약 2.5㎝로, 7쌍의 가시와 7쌍의 촉수를 가진 기묘한 모습의 할루키게니아 화석을 찾아내 현재 열대우림에 생존하고 있는 발톱벌레의 특징을 일부 갖고 있다고 보고했다. 카론 큐레이터는 “이곳에 오면 우주선을 타고 행성을 여행하다 잘못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2017.02.21
- 끈끈이주걱을 절대 믿지 못하게 됐어 친구와 그곳에 갔다가 끔찍한 촉수가 모두 휘어지는 모습을 본 뒤에는 다양한 식충식물. 끈끈이주걱(A), 포르투갈끈끈이주걱(Drosophyllum lusitanicum, B), 벌레잡이제비꽃(Pinguicula gigantea, C), 파리지옥(D). - Annals of Botany 제공 1875년 66세의 다윈은 ‘식충식물(Insectivorous ... ...
- [채널A] 식초로 소독은 금물…해파리 독침 공격 대처 요령채널A l2013.07.22
- 응급처치를 받아야 합니다. 상처를 식초나 알코올 같은 자극적 액체로 씼으면 해파리의 촉수를 자극해 독침이 더 많이 나올 수 있어 절대 삼가야합니다. [인터뷰 : 조영덕/고대구로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바닷물로 씻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독침이 보이는 경우 깨끗한 카드를 사용해서 뽑아내는 것이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