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진기
camera
촬영기
사진기계
시네
라마
카메라앵글
뉴스
"
카메라
"(으)로 총 2,162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6년간 관찰한 아기 북극곰이 조우한 세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지으면 연구원들은 스노모빌이나 헬리콥터를 타고 굴 근처에 원격
카메라
를 설치했다.
카메라
를 통해 굴 주변의 암컷과 아기 북극곰의 활동을 관찰했다. 관찰 결과 북극곰의 '굴 생활'이 가족마다 매우 달랐다. 연구팀은 북극곰이 주기적으로 굴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알게됐다. 어떤 곰은 ... ...
니켈·백금 찾으러 소행성으로…자원 채굴 우주선 '오딘' 최초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2022 OB5과 0.6마일(약 966m) 떨어진 거리에서 시속 수천마일의 속도로 이동하며 2대의 흑백
카메라
로 2022 OB5를 촬영한다. 촬영시간은 5시간 30분이다. 오딘의 목표는 촬영한 사진을 통해 2022 OB5이 금속이 풍부한 금속성 행성인지 알아내는 것이다. 또 오딘은 우주에서 소행성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적해 ... ...
돌봄 로봇·AI, 초고령 시대 환자 건강 직접 개선…"규제 개선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124건이나 찾아냈다. 영국의 '옥세비전(Oxevision)'은 고령자와 중증 치매 환자들을 적외선
카메라
와 센서를 통해 모니터링하고 낙상 위험이나 건강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한다. 미국의 '히포크라틱 AI'는 AI 간호사를 통해 환자들에게 화상 통화로 실시간 의료 상담을 제공한다. AI 서비스를 활용한 ... ...
노원기차마을에서 본 그 기술…ETRI, 생생한 체험 구현하는 XR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9
관절 위치 정보를 추론하는 기술이다. 복합공간상 사용자 위치 추정 기술은 스마트폰
카메라
를 활용해 사용자의 디바이스 위치를 정밀하게 추정하는 기술이다. 이 같은 기술을 통해 사용자는 스마트폰이나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해 가상현실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움직임을 ... ...
초소형위성으로 세계 최고 해상도 이미지 촬영한 대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중인 대전샛은 후보정 후 해상도 1m급의 광학영상을 제공하지만 16U급의 위성에 탑재한
카메라
로 촬영한 영상이다. 온글라이샛은 지난해 11월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에서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한 뒤 ISS에 있는 일본 실험모듈 '키보(Kibo)'에 ... ...
잉크·문신 표시 없이 초정밀 방사선 암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추적해 방사선 치료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치료기다. 방사선치료실 스테레오
카메라
를 이용한다. 환자의 신체 표면 윤곽선을 시각화해 치료 전에는 암 치료 부위와 자세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치료 중에는 피부 표면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오차 범위 내 타깃을 설정할 수 있다. 또 ... ...
얇은 디스플레이 제작 위한 최적의 '진공 조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상태에서 공정을 진행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다. 연구팀은 고속
카메라
촬영 기술을 이용해 진공 정도가 액적 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일반적인 대기압 조건에서는 보지 못하는 새로운 액적 증발 패턴이 나타났다. 진공도에 따른 액적의 건조 거동 변화와 ... ...
제2의 '이태원 참사' 막을 수 있을까…군중 움직임 확인하는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 1㎡당 9명 넘으면 하나의 '유체'처럼 움직여 연구팀은 광장에 두 곳의 관측 지점에
카메라
를 설치해 1000㎡의 구역 내 군중의 밀도 변화를 추적했다. 분석 결과 축제 시작 1시간 전 군중 밀도는 1㎡당 2명 수준이었으나 축제 진행 중 1㎡당 6명까지 증가했다. 최대 1㎡당 9명까지 밀집한 경우도 ... ...
텔레픽스, 블루카본 관측 위성 '블루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등 해양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말한다. 블루본에는 텔레픽스가 자체 개발한 '다분광
카메라
'가 탑재됐다. 블루본은 기존 위성에 비해 최적화된 공간 해상도와 분광 채널을 갖춰 부유 해조류의 양과 분포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블루카본 모니터링 정보는 최근 ... ...
스마트폰 '카툭튀' 없어질까…평면광학 한계 극복 이론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기존 광학 기술은 부피가 크고 무거운 렌즈나 거울로 빛의 경로를 조절해 스마트폰
카메라
나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등 광학 기기를 소형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평면광학 기술은 얇은 평면에 미세한 구조체를 패터닝해 빛을 제어하는 기술로 초소형 광학 장치 구현이 가능하다. 메타표면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