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플래쉬
후래쉬
후래시
후라시
손전등
flash
프래쉬
뉴스
"
플래시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극한호우, 우리]① 서울 지하엔 2년전 물난리 흔적…"지하 물길이 답일까"
2024.05.27
휴대폰
플래시
로는 전방 1~2m밖에 볼 수 없었다. 시설 관리팀이 사용하는 휴대용
플래시
를 이용해 가시거리를 겨우 5m까지 확보할 수 있었다. (위)펌프실 - 오정빗물펌프장 지하 1층 펌프실. 끌어올린 빗물을 수평으로 누운 파란색 하수관에 모아 인근 하천인 베르네천으로 보낸다, (아래)펌프하단 - ... ...
"내가 과학자인 것처럼" 대한민국 과학축제 25일 대전서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CES) 2024 출품작도 관람할 수 있다. 세계자연기금(WWF)과 연계한 모형 판다
플래시
몹 특별전도 준비됐다. 축제 개막은 25일 저녁 7시에 엑스포시민광장 메인무대에서 진행된다. 미디어아트가 어우러진 과학공연과 소리꾼 김나영, 래퍼 ‘광어’, ‘SG워너비’ 맴버 겸 솔로 가수인 이석훈의 축하공연이 ... ...
뉴로모픽 컴퓨팅 구현?…디램·낸드 장점 합친 상변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디램(DRAM)은 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전원이 꺼지면 정보가 사라지는 휘발성이다. NAND
플래시
메모리는 읽기/쓰기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지만 전원이 꺼져도 정보를 보존하는 비휘발성이다. 상변화 메모리는 DRAM과 NAND의 장점을 모두 가진 차세대 메모리로 속도도 빠르고 비휘발성이다. 기존 메모리를 ... ...
SSD 디스크조각모음 필요?...국내 연구진, 오랜 논란 종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3.04
지목했다. 운영체제에서 파일이 심하게 조각나도 SSD 내부에서 파일의 데이터를 여러
플래시
메모리 칩에 골고루 저장하면 여러 칩에서 동시에 읽는 작업이 가능해져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조각난 파일 읽기가 느린 것은 운영체제 내부 원인이 크다는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②풀어드립니다…전력반도체·프리폼 디스플레이란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동시에 ‘비휘발성’ 성질이 있어 전원이 꺼져도 저장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보다 읽고 쓰는 속도가 빠르고 필요한 전력은 상대적으로 적어 에너지 효율이 높다. 사물인터넷 기기나 대용량 저장장치처럼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데이터 보존이 ... ...
신소재 '중고 신인' 강유전체...신경모방 컴퓨팅 미래 밝힌다
과학동아
l
2023.04.29
및 공정 분야에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또한 강유전체 메모리는 단순한 구조 덕분에
플래시
메모리 같은 3차원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한 개의 셀로 여러 다른 상태를 함께 저장하는 등 멀티 비트를 안정적으로 실행하는 기술도 앞으로 더 개발해야 합니다. 이런 기술적 난제들을 해결하기 ... ...
식욕 개선하는 세계 최초 먹는 '전기알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28
메스꺼움, 포만감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그렐린’ 생성을 자극하는 전기캡슐 ‘
플래시
(FLASH)’를 개발하고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2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체 조직을 손상시키는 침습적인 치료 없이 위에서 작용하면서 호르몬을 조절할 수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방사선에도 문제없는 초저에너지 메모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01
우주 부품 수준의 내방사선 특성을 가지면서도 일반적인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보다 3만배 이상 프로그래밍 에너지가 낮은 나노 전자 기계식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개발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민석 ... ...
[과기원은 지금] 전상훈 KAIST 교수팀, 기존 메모리 성능 뛰어넘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전상훈 KAIST 교수. KAIST 제공 ■전상훈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기존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적 성능 한계를 뛰어넘는 메모리를 개발 ... 증가하면 전하량이 감소함을 의미하는 ‘음의 정전용량 효과’를 이용했다. 차세대 낸드
플래시
메모리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버려지는 탄소섬유 해상태양광 설비로 재탄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3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와 금속 입자의 복합화 실험 도중 탄소섬유 표면을 카메라
플래시
처럼 짧지만 순간적으로 높은 빛에너지에 노출시키면 탄소섬유와 플라스틱 수지 간 표면 결합력이 극대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빛에 노출된 탄소섬유 표면에 산소를 포함하는 작용기가 만들어지는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