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플래시"(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 처리기술 'NVMe' 공짜로 푼다동아사이언스 l2020.08.04
- 개발됐다. NVMa 지금은 SSD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전송규격으로 자리잡아 다양한 플래시 기반 저장장치에 쓰인다. 문제는 NVMa의 지적재산권(IP) 대부분이 외부로 공개되지 않아 대학이나 연구소가 연구목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미국 실리콘밸리의 소수 벤처기업들이 자체 개발한 ... ...
- 인텔에 밀리고, TSMC에 쫓기고…갈길 바쁜 삼성전자 반도체연합뉴스 l2020.07.27
- 맡길 가능성이 적다는 예상도 많다. 오히려 인텔의 CPU 신제품 출시 지연은 D램과 낸드플래시가 주력인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에 득이 되지 않는다. 글로벌 서버·PC용 CPU 시장에서 인텔이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신형 CPU가 출시돼야 서버업체 등이 사양을 ... ...
- 원자 하나하나에 정보 담는 신개념 메모리 '저장용량 1000배로 뛴다'동아사이언스 l2020.07.03
- 1m)의 선폭을 가진 기존 반도체보다 훨씬 큰 20nm 이상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F램은 플래시메모리보다 상용화가 더뎠다. 연구팀은 산화하프늄에 3~4V 전압을 가하면 원자 사이 힘이 끊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기존 강유전체 메모리(아래)는 하나의 정보를 담으려면 원자 수천개를 움직여야 했다. ... ...
- 수출효자 낸드플래시 수율 향상·항공부품 국산화 기여한 엔지니어들 6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동아사이언스 l2020.06.08
- 50%대에서 90%로 높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 공로가 인정됐다. 초기의 2차원 낸드플래시 개발 때에는 좁은 저장 공간 때문에 간섭 현상이 일어나 불량이 많이 발생했던 기존 식각 공정 대신 플라스마 공정을 적용해 불량률을 떨어뜨렸다. 이 팀장은 “반도체는 수천 명이 함께 개발하고 ... ...
- "'코로나19 치료제' 렘데시비르, 중등도 환자에게도 효과"연합뉴스 l2020.06.02
- NIH)의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렘데시비르를 투약한 중증 환자의 회복 기간이 플래시보(위약)를 투약한 중증 환자들과 비교할 때 15일에서 11일로 약 31% 단축했다. 이날 길리어드 발표에 대해 전문가들은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미국 매사추세츠 주 레이히 병원의 대니얼 맥퀼런 박사는 임상 ... ...
- 서버용 반도체엔 '코로나19'가 호재…"원격근무 수요 늘어"연합뉴스 l2020.03.11
-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라 PC와 스마트폰 등의 생산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하반기 낸드 플래시 시장은 코로나19 사태의 전개에 달려있다고 트렌드포스는 설명했다. ... ...
- 삼성전자, AI·차세대 슈퍼컴퓨터용 '초고속 D램' 세계 첫 출시연합뉴스 l2020.02.04
- 3세대 16GB HBM2E D램 '플래시볼트'…속도 1.3배·용량 2배 향상 "1초에 3.2기가비트 속도로 풀HD 영화 82편 전송 가능" 삼성전자는 차세대 슈퍼컴퓨터 ... 고객들에게 아쿠아볼트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한편 차세대 시스템 개발 협력을 강화해 플래시볼트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SK그룹, CES서 모빌리티 기술 선보여…주요 경영진 총출동연합뉴스 l2020.01.05
- VR), 오토모티브(차량),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5G 등 6개 사업분야에 사용되는 D램, 낸드플래시, 이미지센서 등 반도체 솔루션을 전시한다. 방대한 데이터가 사용되는 미래도시의 모습을 모형으로 만들어 반도체의 역할을 시각적으로 전한다. 최근 미주 지역에서 출시한 일반 소비자용 SSD ... ...
- VR용 초고해상도 OLED, 유리 위엔 올릴 수 없다는 ‘고정관념’ 깬다동아사이언스 l2019.12.09
- 빛을 열로 전환해주는 장치이다. 연구팀은 100분의 1초간 순간적으로 강한 빛을 내는 제논 플래시 램프를 이용해 용액을 빠르게 가열하고 용액이 날아가 달라붙도록 했다. 조 박사는 “빛을 흡수해 열로 변환하는 기술이 중요한데 관련 연구를 진행했던 노하우를 활용해 용액이 기판으로 옮겨갈 수 ... ...
- "韓 반도체 산학연 세계 최고 수준. 연구 다양성 부족이 문제"동아사이언스 l2019.11.18
- 개발한 CTF 기반 96단 512Gb 4D 낸드플래시는 한국공학한림원이 선정한 올해 반도체 분야 최신 성과로 꼽혔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은 없음. 한국공학한림원-SK하이닉스 제공 한국 반도체 산업과 학계는 미국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연구 분야의 다양성이 아직 부족하다는 학계 및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