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하
뉴스
"
하전
"(으)로 총 27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 활동 또래 별의 5분의1 수준…지구 생명체 유지에 도움
연합뉴스
l
2020.05.04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태양의 자기 활동이 강해지면 흑점이 늘면서 고에너지
하전
입자를 대량으로 쏟아내는 태양플레어(폭발)나 코로나질량방출(CME)이 잦아져 주변 행성에 피해를 주게 되며 생명체도 살 수 없게 된다. 독일 '막스 플랑크 태양계연구소'(MPS)의 천체물리학자 티모 라인홀트 ... ...
30년 전 우주에서 포착된 '창백한 푸른 점'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지 43년이 지났음에도 우주선(線)과 플라즈마를 관측하는 장비, 자력계와 저에너지
하전
입자 관측기 등을 가동하며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다. 창백한 푸른 점의 원본 사진이다. NASA 제공 ... ...
정밀 3D프린팅 기술로 높이 7μm 짜리 구조물 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9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기존 근거리에서 전기적으로
하전
된 고분자용액을 방사하던 기술을 향상시켜 나노 섬유를 3차원으로 놓게 쌓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기존 근거리 전기방사 기술은 기판으로부터 가까은 거리에서 빠르게 굳는 고분자 용액을 쏘아 ... ...
태양서 멀어질수록 떨어지는 태양풍 속도 재확인
연합뉴스
l
2019.12.04
표시돼 있다. SwRI/NASA/ Adler Planetarium 제공 태양에서 멀어질수록 태양이 초음속으로 내뿜는
하전
입자 흐름인 태양풍의 속도가 떨어진다는 점이 다시 확인됐다. 이번에는 '아로코스'로 이름을 바꾼 카이퍼 벨트의 천체 '울티마 툴레' 탐사를 마치고 태양계 끝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뉴허라이즌스호에 ... ...
우주탐사 전초기지 될 달서 물 더 많이, 더 쉽게 확보 가능
연합뉴스
l
2019.07.25
'에 실린 별도의 논문을 통해 남극 주변 크레이터의 얼음층이 유성체의 충돌과 태양풍의
하전
입자에 노출되면서 물 분자가 튀어 올라 분산됐을 것이라는 주장을 내놓았다. 대기가 없는 상태에서 유성체 충돌로 얼음 입자와 뒤섞인 머리카락보다 몇 배는 더 가는 토양이 수십 킬로미터 밖으로 ... ...
하재주 전 원자력硏 원장 “사퇴 거부하자 과기硏 이사장 찾아와 ‘윗선 뜻’ 압박”
동아사이언스
l
2019.03.14
하재주 전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이 13일 오후 서울 광화문 동아일보 사옥에서 지난해 사임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윤신영 기자 문재인 정부 들어 정부출연 연구기관장들에 대한 정부의 사퇴 압박이 있었다는 당사자 증언이 13일에 나왔다. 하재주 전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이다. 하 전 원장 ... ...
"우주의 속삭임을 들어라" 英연구진, 남극서 포착한 우주날씨 소리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30
듣기엔 이 소리가 마치 코러스처럼 들린다고 밝혔다. 지구 자기권에 태양에서 날라온
하전
된 입자가 충돌하면서 나는 소리이다.- 영국남극자연환경연구소 제공 ... ...
1609년 갈릴레이 발견한 토성 고리가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 NASA 제공 연구진은 미국 하와이에 있는 ‘켁 2 망원경(Keck II Telescope)’를 이용해 토성의
하전
입자들을 관찰했다. 이를 통해 최근 토성의 북반구와 남반구에 자기장 선이 형성됐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2017년 토성 탐사의 임무를 마치고 산화된 NASA의 토성 탐사선 ‘카시니 호(Cassini)’가 보내준 ... ...
[표지로 읽는 과학] 오염물질 배출·소음 없는 ‘이온 항공기’
동아사이언스
l
2018.11.25
입자를 생성한다. 이때 전기장의 방향에 따라 방출기에서는 양전하(+) 또는 음전하(-)로
하전
된 공기 입자들이 방출되고, 이 입자들이 중성을 띤 외부의 공기 입자들과 충돌해 이온 바람을 일으켜 추진력을 낸다. 이온 드라이브 항공기는 우선 기존 항공기들보다 조용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 ...
고에너지 ‘중성미자’ 발원지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6
관측소. 지하 1.5㎞ 5000여 개 광학센서로 남극점을 통과한 중성미자가 만들어내는
하전
입자와 빛을 검출한다. - 사이언스 제공 아이스큐브 연구단은 미국과 호주, 독일, 일본, 한국 등 12개국 49개 기관의 연구자 300여 명으로 구성됐다. 국내에서는 카르스텐 로트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가 참여하고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