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스페셜
"
구분
"(으)로 총 69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기존 시나리오가 바뀌어야 한다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작물 벼와 그 조상인 야생 벼를
구분
하는 여러 특징 가운데 고고학 유적지에 남아있는 기동세포의 식물석에 주목했다. 식물석(phytolith)이란 지하수의 실리카 성분(규산)이 침투해 화석화된 식물조직이다. 기동세포(bulliform cell)란 볏과 식물 ... ...
[사이언스게시판] 재료연-세아창원특수강, 영구자석 소재기술 연구개발 업무협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20일 열린 '한국재료연구원-세아창원특수강 고특성 영구자석 소재 기술협력 업무협약식'에서 양 기관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재료연 ... 6년 경주, 2017년 포항 지진을 계기로 지진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전국을 4~5개 권역으로
구분
해 순차적으로 단층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흑백의 방에 지내게 하는 식으로 색 정보를 억제해 반사되는 빛의 양에 따라 물체를
구분
할 수 있는 능력을 충분히 갖추게 한 뒤 총천연색 세계를 접해 색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시각피질 뉴런의 70%가 색 정보를 처리할 정도로 인간의 시지각에서 색은 중요한 정보이지만 사물을 식별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공염불 된 교육부의 대학규제 철폐
2024.05.08
전통적인 자연법칙이라고 가르치고 있는 형편이다. 그렇다고 대학을 어떠한 담이나
구분
도 존재하지 않는 '무전공'으로 운영해야 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좋은 담이 좋은 이웃을 만든다'고 했던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 좋은 이웃을 위한 좋은 담을 만들기 위해서는 담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설립되기 시작하면서 깊이 있는 학문을 하는 이들이 많아졌다. 대학설립 초기에는 학문
구분
도 잘 되지 않았고 가르치는 교수의 관심분야를 학생들이 배우는 형식이었다. 따라서 각 대학교에 개설된 전공분야는 차이가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대학교에 많이 개설된 학문 분야는 철학, 신학, 법학,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낮이 길 때 오전에 약하고 오후에 충분하면(high light) 영향이 없다(오른쪽). 낮과 밤의
구분
을 명쾌히 하기 위해 하루 24시간의 시작이 자정이 아니라 해 뜨는 시점이고 끝이 다음날 해 뜨기 직전로 배치했다(위에서 아래 방향). 사이언스 제공 ●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조슈아 젠드론 미국 예일대 ... ...
[사이언스게시판] 이종호 장관, 영국과학혁신기술부 장관 면담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지원하는 사업이다. 학위나 경력에 따라 '인턴연구원' 또는 '전문박사연구원'으로
구분
한다. 인턴연구원은 6개월간 1000만원을, 전문박사연구원은 2년간 매년 3000만원을 지원한다. WISET은 올해 사업으로 작년보다 2배 늘린 221개 과제를 지원한다. 올해는 경력복귀 지원사업을 축소하는 대신 대체인력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기술 수준을 평가하고 우리의 기술 경쟁력과 기술 발전 주기를 기준으로 협력 유형을
구분
하겠다는 발상으로는 실질적인 국제협력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은 삼척동자도 알고 있는 일이다. 과기계의 숙원이었던 공공기관 지정 해제가 새로운 불안 요소로 등장하고 있는 것도 걱정스럽다. 정부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헤로도토스를 역사학자, 소크라테스를 철학자와 같이
구분
하지만 당시에는 학문적
구분
이 없었다. 단지 세상에 대한 관심을 각자의 관점에서 풀이했을 뿐이다. 아스클레피오스 신전이 있던 코스(Cos) 섬에서 의사의 아들로 태어난 히포크라테스는 일찍부터 사람의 몸과 질병에 관심을 가졌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분리한 항생제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물질을 합성하여 사용하는 화학요법제로
구분
했다. 그러나 지금은 항생제도 곰팡이를 키우지 않고 합성하여 분리하는 경우도 많아졌으므로 항생제라 하면 화학요법제를 포함하여 항균제 대신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스트렙토마이신. 위키미디어 제공 ●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