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스페셜
"
막
"(으)로 총 37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높아지기 시작해 약 1만1000년 전 40%를 넘어섰다(위). 사이언스 제공 고기후 분석 결과 마지
막
아빙기 동안 동아시아 몬순이 강해져 강수량이 늘었다. 그럼에도 유적지의 나무와 수생식물 흔적은 오히려 줄었다. 벼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물을 끌어오다 보니 주변은 오히려 물이 부족해졌다는 말이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
2024.04.28
수 있었으며 1799년에 아산화질소를 수술에 이용하면 도움이 될 거라는 글을 썼지만 이제
막
약관을 넘긴 그의 글은 타인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기분이 좋아져 웃음을 짓게 된다는 뜻으로 웃음기체(laughing gas, 笑氣)라고도 한 아산화질소를 들이마시면 기분이 좋아진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있는 심각한 어려움은 오히려 사회적으로 의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가로
막
는 ‘잘못된 의료 제도’의 문제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뜻이다. 그렇다고 보건복지부가 내놓은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다. 단순히 지역 의대의 정원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제공 ● 의과대학 졸업식에서 사용하는 히포크라테스 선서 오늘날 많은 의대에서 이제
막
의사생활을 시작하기에 앞서 졸업식을 할 때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하곤 한다. 이 선서도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왔지만 언제 누가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히포크라테스를 받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LPS를 운반하려고 하는 단백질 사다리에 달라붙어 작동을 멈추게 한다. 그 결과 LPS가 세포
막
에 쌓이면서 생리가 교란돼 결국 아시네토박터가 죽는다. 연구자들은 단백질 사다리의 일부인 LptB2FG에 LPS와 조수라발핀을 넣고 극저온저온현미경으로 구조를 분석해 조수라발핀이 단백질과 LPS에 달라붙어 ... ...
[과기원NOW] UNIST, 고순도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대한 활성도가 뛰어나고 5∼10㎚(나노미터·10억분의 1m) 수준의 얇은 텅스텐
막
이 루테늄의 촉매 작용 부위를 보호해 안정성을 높였다. 100시간 이상 구동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에 4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오창명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나는 반면 활동 기간이 길면 실제 도움이 기대도움과 비슷해진다. 슈팅하는 선수와
막
는 골키퍼가 여럿이라 개인 능력 효과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실제 손흥민의 EPL 통산 도움은 57개로 기대도움 53개보다 4개 더 많다. 손케듀오는 20/21 시즌에만 무려 14개의 합작골을 만들어 EPL 단일 시즌 최다 ... ...
[과기원NOW] UNIST, NK세포 표적으로 암세포 전달하는 나노드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NK 세포 전달 나노드론(NKeNDs)’을 개발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 윗줄 원형부터 제 1저자 박성국 연구원, 박성호 교수, 강세병 교수, 아랫줄 오른쪽 첫 ... 기술은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사용해 2차원 소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매우 얇고 균일한 원자층
막
증착을 가능하게 한 기술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따르면 피부에 아무것도 닿지 않고 단지 각질층이 건조해지는 것만으로도 메르켈세포의
막
에 영향을 주기에 충분한 변형력이 발생한다. 얼굴 피부 전반에서 이런 일이 일어날 때 뇌는 ‘피부가 당긴다’라고 지각한다. 그렇다면 이 느낌도 촉각이라고 불러야 할까. ※ 필자소개 강석기 ... ...
[과기원NOW] KAIST, 미생물 세포 공장 구축에 활용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9
가벼운 성질로 맥신-탄화 붕소 혼합 용액의 안정성을 높여준다. 중성자 차폐 코팅
막
을 입힌 나일론 복합체는 2만번 이상의 굽힘 테스트에서도 최대 98%까지 원형을 유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지난달 31일 온라인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김승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