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스페셜
"
막
"(으)로 총 37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기존 백금계 촉매 대체 고성능 원자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광검출 성능을 보였다. 연구팀은 해당 광센서를 사용해 매우 얇은 피부 부착형 초박
막
맥박 센서도 제작했다. 다양한 변형에도 안정적으로 맥박 신호를 획득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ACS 나노'에 지난달 게재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생겼다. 고구마, 감자 등 여러 채소 가운데 당근을 배치하는 구도를 만들었다. 그런데
막
상 그리다 보니 내가 가진 주황색 물감으로는 당근색 느낌이 안 났고 다른 색 물감을 조금 섞어봐도 영 아니라 고민하는 모습을 화실 선생님이 지나가다 본 것이다. 잠시 뒤 선생님이 주황색 물감을 갖고 와 내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
2023.10.06
특수한 방법으로 노화에 의해 약화된 것들을 다시 강화시키면 노화성 기억 감퇴를
막
을 수 있지 않을까. 노화에 의해 약화된 학습과 기억 관련 뇌활성 조절 기술은 어떻게 가능할까. 뇌의 활성을 비침습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지만 그 중 가장 각광받고 안전한 것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말했다. 오펜하이머는 실험과 결별하기로 하고 양자역학의 산실인 독일 괴팅겐의
막
스 보른 교수팀으로 옮겨 이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처럼 실험에 서툴렀던 오펜하이머가 수많은 실험물리학자와 공학자들을 지휘하며 맨해튼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었다니 놀라운 일이다. 반수소를 만들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이 소중한만큼 남도 소중하다
2023.07.22
우위를 마구 휘두르고 타인을 짓밟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내가 사랑하는 이 또한 그만큼
막
대해지고 짓밟혀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모두가 타인의 인권을 침해하고 이기적으로 사는 세상에서 내 소중한 사람이 인간 대접을 받고 이타적인 행동의 수혜자가 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 ...
[표지로 읽는 과학] 빗해파리 신경계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23
나타났다. 대신 ‘합포체’라는 일종의
막
으로 연결돼 있었다. 연구팀은 “원형의
막
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음을 발견했다”며 “시냅스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빗해파리의 신경계가 다른 동물의 신경계와 독립적으로 진화했다고 결론지었다. 연구팀은 “신경계 진화 이해의 ... ...
[박정연의 닥터스] “시각장애 산모가 3D프린팅 피규어로 태아 얼굴 느껴"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쉽게 말해 풍선과 같이 부푸는 형태의 지혈제다. 산도에 삽입해 피가 흘러나오는 것을
막
는다. 다만 앞서 미국에서 개발된 산후출혈방지풍선의 경우 실리콘 재질로 출혈이 일어나는 자궁 부위에 완전히 닿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거즈를 덧대는 아이디어를 더했다. 머지 않은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
2023.03.24
분자기전이 비정상적으로 변화하였고, 이것이 기존의 기억과 다른 새로운 기억의 형성을
막
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PTSD와 같은 비정상적 기억 형성 및 소멸의 원인을 뇌 속에서만 찾는 것은 분명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스탠포드 대학의 다이서로스(Karl Deisseroth)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막
관통 나선 6번과 7번을 잇는 영역(ECL3)의 구조가 바뀌며 나선 6번이 틀어져 세포
막
안쪽에 있는 G단백질(여기서는 표시되지 않음)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알파폴드2의 예측에 따르면 다른 냄새수용체도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네이처 제공 ● 냄새분자 사이 작용 복잡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2023.03.14
조용히 살아가던 존 헌터는 20세가 된 1748년에 런던으로 가서 형을 만났다. 윌리엄 헌터는
막
코벤트 가든(Covent Garden)에서 해부학을 가르치는 교육기관을 연 상태였다. 이 사교육기관에서 시체 해부를 가르치는 형의 제자이자 조수로 일하면서 의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형제는 12년간 함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