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단
종단
휴가
틈
짬
끝
스페셜
"
말미
"(으)로 총 7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 시대에 꿈자리가 사나워진 이유
2021.06.01
경험은 단조롭더라도 꿈 덕분에 시냅스 가소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말이다. 논문
말미
에서 호엘 교수는 꿈의 과적합뇌가설이 기존 가설들과 대립하는 게 아니라 해석에 새로운 차원을 더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어찌 보면 꿈에 대한 일반적인 해몽인 셈이다. 그리고 소설이나 영화, 예술 같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명과 환청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2021.04.06
심리학부 미리엄 마타메일즈 교수의 해설도 실렸다. 마타메일즈 교수는 글
말미
에서 뜻밖에도 이명을 언급했다. 이번 연구가 환청을 없앨 수 있는 치료 전략으로 가는 문을 열었다면서, 수년 전 선조체에 전기 자극을 줘 지속적인 이명이 사라진 예를 같은 맥락이라고 소개한 것이다. 지난 2013년 ... ...
김기선 GIST총장 "사의수용 이사회 결정 인정 못해" 가처분 신청 예고
동아사이언스
l
2021.04.01
며 "이사회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총장은 "임수경 이사장이 회의
말미
에 저한테 '총장님 사의를 밝히신 것이죠'라고 묻자 분명히 나는 '아니오'라고 답했다"며 "법리검토를 거쳐 법원에 가처분신청을 내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김 총장은 사임의사가 담겼던 지난달 18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
2021.03.02
과대평가된 것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생체시계는 하나가 아니다 리뷰
말미
에서 사소네-코르시 교수는 오늘날 동물의 생체시계로 알려져 있는 ‘PER 진동자(oscillator)’인 BMAL1/CLOCK과 PER/CRY를 핵심부품으로 하는 생체시계가 유일한 게 아닐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지난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혁신은 가능할까
2021.02.23
없다. 플라스틱 쓰레기의 5%를 차지하는 PVC는 구조상 아예 CRM이 안 된다. 연구자들은 리뷰
말미
에서 앞으로는 새로운 CRM 방법을 개발하는 것과 동시에 CRM이 쉽게 되는 새로운 구조의 단위체에 기반한 고분자를 만들어야 PE나 PP처럼 널리 쓰이는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까다로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육과 글루타민
2020.12.01
근육량이 늘어났다. 반면 몸무게나 다른 기관의 무게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논문
말미
에서 연구자들은 “현재 질병이나 노화로 인한 근육량 감소를 해결할 마땅한 방법이 없다”며 “이번 연구는 약물로 이를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그런데 논문 어디에도 글루타민 보충제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100억년 뒤 태양계는 어떤 모습일까
2020.09.29
올라간다면 1856b에 대한 좀 더 확실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
에서 흥미로운 언급을 했다. 기존 이론에 따르면 이 정도 질량의 행성이 백색왜성에 이렇게 가까이 접근하면 강한 중력의 기조력에 찢기고 파편은 먹혀 사라져야 하는데 멀쩡하게 살아남아 공전하고 있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으로 살빼는 시대 오나
2020.09.22
어떤 식으로든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 아닐까. 연구자들은 ‘네이처’ 논문의
말미
에서 “많은 대사질환의 발생 위험성이 태어난 계절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은 빛 반응 경로가 관여함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오늘날 인공조명이 표준이 된 선진 사회에서 대사질환이 만연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확 줄어들었다. 그 결과 100%에 가까운 양자 효율이 구현된 것이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
에서 가시광선의 넓은 파장 범위에서 빛을 흡수하는 새로운 광촉매 개발을 보고한 논문 두 편을 소개했다(각각 2018년 ‘네이처 촉매’, 2019년 ‘네이처 재료’에 실렸다). 여기에 자신들이 개발한 보조촉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중구와 코로나19
2020.04.21
아직 렘데시비르만큼 뚜렷한 효과를 내는 후보물질이 없는 상태다. 차오 교수는 논평
말미
에 각종 약재로 만든 중의학 조제약물인 ‘연화청온’이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효과가 있다는 최근 연구결과를 소개하기도 했다. ‘사이언스’ 기사에 따르면 지난 세기 면역학자들에게 호중구는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