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단
종단
휴가
틈
짬
끝
스페셜
"
말미
"(으)로 총 7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구조를 조금씩 바꿔 더 강력한 세놀리틱을 찾는 연구도 유망할 것으로 보고 있다. 논문
말미
에서 연구자들은 사람을 대상으로 피세틴의 세놀리틱 효과를 보는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케르세틴과 칵테일(Q+F)인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면 노화 연구에 새로운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유전자라며 과대평가하는 걸 못마땅해 했고 최근 연구결과를 발표한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
에서 자신들의 결론이 자칫 FOXP2를 과소평가하는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을까 우려했다. 이를 계기로 FOXP2와 인간의 언어 진화에 대해 생각해본다. 2002년이 전성기 영국 런던대 신경과학자 파라네 바르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제공 ‘소의 비밀스러운 삶’에 나오는 소들의 다채로운 모습이 그런 예가 아닐까. 이 책
말미
에서 저자는 엄격한 동물복지시스템 도입이 시급함을 강조하고 있다. “소비자가 100% 풀만 먹고 자란 방목 유기농 동물복지 육우를 적극적으로 선택한다면, 동물을 기르는 방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
2018.05.01
상황에서 SFTS환자가 대규모로 발생한다면 심각한 상황이 전개될 것이다. 그런데 기사
말미
에 일본에서 SFTS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제 3상 임상시험에 들어갔다는 반가운 내용이 짤막하게 언급됐다. 게다가 완전 신약후보물질이 아니라 2014년 일본에서 독감(인플루엔자)치료제로 허가가 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농도로 포함된 과당 용액을 먹은 초파리들은 거의 다 살아남았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
에서 “이번 연구의 발견은 다른 동물에서도 칼슘 이온의 맛이 불쾌하게만 감지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썼다. 사람과 초파리는 오래 전에 공통조상에서 갈라져 각자 미각 수용체를 진화시켰음에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성공한 것이다. 물론 이 과정이 당장 산업현장에 적용되기는 어렵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
에서 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는 촉매 효율이 더 높고 반응 조건이 까다롭지 않은 효소를 개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계적으로 청바지에 대한 수요는 계속 늘어나고 있고 염색 과정의 환경오염 문제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정상 동물과 비교한 것이므로 극단적인 상황이다. 그럼에도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
에서 Aldh2 변이형인 사람이 자주 알코올에 노출될, 즉 술을 마실 경우 DNA이중나선이 끊어지고 염색체가 비정상적으로 재구성돼 혈액과 관련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이 연구결과가 동아시아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3만 여 년 전으로 한참 올라간 게 이제는 확고한 정설이 됐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기사
말미
에는 “7000~9000년 전 개부터 진짜 ‘개’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라는 스페인 레이후안카를로스대 애비 드레이크 연구원의 코멘트가 인용됐기 때문이다. 개가 늑대에서 진화한 게 확실함에도(여전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
2017.12.27
망막의 뮐러아교세포에서 sEH 효소의 활성이 높아지는 것일까. 이에 대해 저자들은 논문
말미
에서 “혈당조절 실패가 망막에 산화스트레스를 일으키는 게 주요인일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은 모른다”고 고백하고 있다. 또 뮐러아교세포에서 만들어진 19,20-DHDP가 어떻게 내피세포와 주위세포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그렇다면 이런 네트워크 패턴 차이는 어디서 비롯된 걸까.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
에서 다소 뻔한 얘기를 하고 있다. 즉 유전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도 있고 경험을 통해 뇌의 네트워크가 바뀌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 뇌가소성의 중요성 매리언 다이아몬드 교수는 아인슈타인의 뇌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