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스페셜
"
반
"(으)로 총 59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AI 교과서 좌초…학생·교사 혼란 외면하는 교육부
2025.01.01
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렇다고 교육부가
반
드시 에듀테크 기업에 매년 천문학적인 수익을 보장해 줘야 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자칫하면 교육부가 '사교육 카르텔'의 수익을 보장해주기 위해서 교사와 학생을 볼모로 활용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을 수도 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질병, 병원, 의사, 의학 뒤집어 보기
2024.10.27
이상이 사회의 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오늘날 질병 발생양상을 보면 한 세기
반
도 더 전에 제시된 그의 주장이 시대를 앞서갔다는 생각을 가지게 한다. 인류가 질병의 위협에서 벗어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자는 물론 사회전체가 질병해결을 위해 항상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AI가 집어삼킨 노벨상…식어가는 관심
2024.10.23
살던 우리가 이제는 당당하게 선진국으로 발전한 것이다. 세계 최고를 외치고 있는
반
도체·자동차·화학·철강·조선 산업의 발전은 그런 노력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전 세계 어느 나라도 경험하지 못한 놀라운 성과다. 이제 우리도 노벨 과학상을 받기 위한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해야 한다. 미래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 또한 지나갈 것…비극적 낙관주의
2024.10.19
왜 약에만 의존하고 다른 민간요법 등은 시도해 보지 않냐는 엄마의 끈질긴 설득에
반
쯤 체념해서 그래 그냥 어떻게 되는지 보자 하는 마음에 그랬던 것 같다. 물론 실패할 것을 알고 있었고 실제로도 실패해서 고통과 약 용량만 더 늘리는 엔딩이었다. 이 때 한 가지 흥미로웠던 것은 엄마가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가을학기 정규 과학교육과정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창작탐구과정, 정보(SW)탐구과정으로 나뉜다. 과정마다 세부 주제별로 총 15종 30개
반
이 운영된다. 접수는 11일부터 과천과학관 교육관 온라인학습관리시스템(sciencecenter.go.kr/edu)에서 할 수 있다. ■ 한국화학연구원은 오는 11월 4일까지 창의적인 화학 콘텐츠를 발굴하는 ‘2024 화학창의콘텐츠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는 쥐에 대해 얼마나 알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22
섬 생태계를 복원하는 미국 비영리 단체인 '섬 보존(Island Conservation)'에 따르면 지난
반
세기 동안 사람들은 666개 섬에서 섬을 침입한 쥐를 퇴치하는 시도를 820회 했다. 보존 생물학자인 오클랜드 대학교의 제임스 러셀 연구원은 이 시도의 약 88%가 성공했다고 말했다. 1959년 뉴질랜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가짜 과학
2024.08.28
우리에게 과학이 필요한 이유를 이해하도록 해주는 것이 핵심이다. 언제나 '위험'을 수
반
할 수밖에 없는 '기술'의 사회적 수용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가짜·유사 과학이라는 악령(惡靈)이 춤추는 현대 사회에서 과학과 기술만이 우리를 지켜주는 희미한 등불이라는 칼 세이건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정신을 차려야 한다. 진심이 담기지 않은 '과학기술 중심의 국정 운영'은 의미가 없다.
반
도체·AI를 앞세운 허울뿐인 융합학과와 계약학과만으로는 절박하게 필요한 이공계 인력을 충분히 양성할 수 없다. 여전히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의정(醫政) 갈등도 이공계 인력 양성에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생활습관이 병을 만든다
2024.06.30
질병 패턴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오늘날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
반
인은 물론 미래의 의사들까지 생활방식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의사의 중요한 역할은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었지만 앞으로는 생활습관을 중심으로 질병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씌어졌으므로 당시에 국제어라 할 수 있는 라틴어보다는 파급효과가 적었다. 그래도
반
밀레니엄이 지난 지금 그가 '외과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지게 한 가장 큰 업적이 되었다. 수술을 집도중인 파레. 위키미디어 제공 ● 파레가 의학발전에 남겨준 유산 파레는 '화승총과 총기로 인한 상처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