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반"(으)로 총 59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2024.03.20
- 만들어진 광합성 산물은 녹말로 바꿔 밤에 쓸 에너지원으로 저장하고 그 뒤(장일의 후반부)의 광합성 산물을 성장에 투자하는 전략을 진화시킨 결과로 보인다. 기후변화로 인해 작물의 생체리듬을 분석해 최적의 시간대에 자원을 투입해 수확량을 늘리는 시간재배(chronoculture)가 주목받고 있다.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2024.02.17
- 헌혈을 할 수 없었던 것은 그 때까지 증명된 것은 아니었지만 프리온이 혈액을 타고 운반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프리온에 의해 발생한 병을 치료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은 없지만 전보다 예방을 잘 하게 된 점은 다행이라 할 수 있다. 프리온 병중 가장 흔한 크로이츠펠트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2024.01.21
- 항암제로 사용되는 항생제.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항암제로 사용되는 항생제 약 반세기 전에 우리나라에서는 감염병 치료제를 의미하는 용어로 ‘마이신’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곤 했다. 악티노마이신과 스트렙토마이신 외에도 겐타마이신, 링코마이신, 테라마이신 등 세균의 성장을 막는 약은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2024.01.03
- 우리를 포함한 동양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24절기가 모두 그레고리력에 정확하게 반영되어 있다. 그런데도 매년 달력을 새로 인쇄해야 하는 이유는 계절과 상관없이 정해지는 7일 주기의 ‘요일’을 표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달력을 만들어서 국가 권력의 횡포를 막아주고, 세계화를 가능하게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해외 연구자가 '찾아오는' 국제협력해야2023.11.22
- ‘인맥’이 중요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진정한 국제협력은 인맥이 아니라 실력을 기반으로 해야만 한다. K-과학기술의 성과가 분명하면 국제협력은 자연스럽게 강화된다. ‘찾아가는’ 국제협력도 중요하지만, 다른 나라 연구자들이 우리 연구자를 ‘찾아오는’ 국제협력이 더 중요할 수도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2023.11.19
- 충성하지 않는 사람들(정치범과 사상범)을 통제하기 위해 이 수술을 하기도 했다. 반대 의견도 많았으나 뇌에 생긴 정신과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당한 방법은 없었다. 전쟁에 의한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에 의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들에게 뇌엽절제술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이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2023.11.08
- 이유가 없다. 전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우리 사회의 독특한 특성이 확실하게 반영된 ‘박인비식 우리 과학기술 정책’을 서둘러 개발해야 한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2023.10.11
- 갑자기 축구가 아니라 ‘하키’를 잘하지 못했다고 탓하는 형국이 돼버렸다. 반세기의 투자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 오라는 요구는 명백하게 과도하고 지나친 것이다. 그런데 올해는 사정이 너무 달랐다. 아무도 노벨상에 대해서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노벨상이 계절이 돌아온 사실조차 잊고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R&D예산 삭감과 과학기술 정책의 본질2023.09.27
- 예산을 퍼주는 것도 모자라 특허권까지 넘겨주겠다는 전제로 시작하는 국제협력은 반드시 실패할 수밖에 없다. 기초연구와 출연연 예산을 줄여서 마련한 예산으로 밀어붙이는 퍼주기식 국제협력은 절대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오히려 오늘날 우리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것은 ‘선진창조형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완전히 길을 잃어버린 ‘과학기술정책’2023.09.13
- 확보할 수 없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존재 이유? 지난 반세기 동안 애써 다듬어왔던 우리의 과학기술 정책이 이제는 온전하게 길을 잃어버린 상황이다. 떠들썩하게 등장했던 부총리급 과학기술부가 그 시작이었다. 국가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총괄 조정기능은 지금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