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스페셜
"
변이
"(으)로 총 1,5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외직구 논란…암, 절반 이상은 원인도 몰라
2024.05.29
남자는 평균 5.6배, 여성은 4.4배 더 높았다. 하위 5분위 나라의 암 발생이 100% 임의 돌연
변이
나 유전요인 때문이라고, 예방할 수 없다고 봐도 영국 암 발생의 80%는 외부 요인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암 발생의 원인을 규명해 예방책을 찾는 게 암 발생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초기 척추동물에서 유전자 중복으로 바소토신 유전자가 두 개가 된 뒤 여분의 유전자가
변이
를 일으켜 새로운 기능을 지닌 옥시토신 계열 유전자로 거듭난 것이다. 지난달 학술지 '커뮤니케이션스 바이올로지'에는 사람의 옥시토신 신호 경로에 관련된 유전자 154개의 기원을 추적한 논문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지성' 과식 메커니즘 찾았다
2024.05.02
1만 년 농업을 시작한 뒤 녹말분해효소 유전자 복제 수 증가나 유당분해효소 발현 유지
변이
등 일부 적응을 보이기는 했지만 미미한 수준이다. 하물며 100년 남짓한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 역사에는 전혀 대응하지 못한 상태다. 수렵채집인의 식단에서 알 수 있듯이 자연에는 당(탄수화물)과 지방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라스의 신호 전달 경로에 놓인 효소다. 라스 단백질 구조를 밝힌 실험실 출신으로
변이
라스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치료제 개발에는 끝내 성공하지 못한 장 박사가 이번 논문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할지 궁금하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확인하는 정도에 머물렀으며 책 내용과 실제 사람의 몸이 다른 경우는 그 사람의 몸에
변이
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하곤 했다. 그랬으니 해부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16세기에 직접 해부를 하여 갈레노스의 책에서 수많은 잘못된 점을 지적한 '해부학의 아버지' 베살리우스(Andreas Vesalius, 1514~1564)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결과 단백질 사다리 유전자의
변이
로 아미노산 하나가 달라졌다는 걸 확인했다. 우연한
변이
로 조수라발핀에 내성을 지닌 게 된 CRAB가 이미 존재한다는 것이다. 다만 자연계에는 조수라발핀에 해당하는 천연 분자가 없어 반복된 노출로 인한 내성균이 나온 건 아니다. 따라서 조수라발핀을 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숫자가 늘어나야 사람에게 해가 될 정도로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우연히 침입하거나
변이
에 의해 생겨난 적은 수로는 특별한 병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닥티노마이신은 DNA에 결합함으로써 RNA 중합효소가 DNA로부터 RNA를 만드는 과정을 막는다. 이렇게 되면 리보소체(리보솜)로 유전정보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인 유골에서 발견된 다발성 경화증의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3
됐다. 위생적인 환경이 갖춰지면서 감염병 위험은 줄어든 가운데, 남은 유전자 돌연
변이
가 자가면역질환에 취약한 면역체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됐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다발성 경화증의 뿌리를 이해하고 더 나은 치료법을 찾는 데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그런데 척추동물의 진화과정에서 피레트린이 달라붙지 못하면서도 기능을 유지하는
변이
가 일어났다. 덕분에 사람과 새는 피레트린에 노출돼도 별문제가 없다. 다만 어류나 고양이 같은 일부 척추동물은 피레트린을 해독하는 효소가 없어 여전히 위험하다. 피레트린에 취약한 무척추동물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포유류 최초' 생쥐의 뇌세포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3.12.16
전체의 세포를 면밀히 그려낸 첫 지도라며 이를 통해 신경학적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적
변이
와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뇌 세포의 특성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