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스페셜
"
변이
"(으)로 총 1,5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큐틴이나 수베린, 리그닌을 수송하는 데 관여할 것으로 추정했다. ABCG5 유전자가 고장 난
변이
체는 세포벽 구성 성분의 수송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서 세포벽의 방수력이 떨어지면서 세포질이 흘러나와 세포 사이 공간을 채웠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식물은 자엽초 또는 하배축에서 파란빛 세기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최근 연구 결과 Y염색체의 KDM5D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네이처 제공 KRAS
변이
로 KDM5D의 활성이 커지면 암세포 사이의 연결이 느슨해지고 면역세포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종양에서 암세포가 쉽게 떨어져 나가 전이가 일어날 위험성이 커지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있기 때문이다. 지난 40년간 의학자들과 HIV는 백신 개발과 백신을 무용화하기 위한
변이
형성을 위해 계속 전투를 하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HIV가 계속 승자가 되고 있는 중이다. 기대한 백신이 개발되지 못해 사람이 HIV에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지는 못하지만 다행히 치료제가 개발되어 HIV 감염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두 조합이 있어 어느 쪽이 먼저 생겼는지는 아직 모른다. 그 뒤 나머지 유전자에도
변이
가 생겨 짙은 주황색 당근이 나왔을 것이다. 20세기 초 당근의 베타-카로틴이 프로비타민A, 체내에서 비타민A로 바뀌는 선구물질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당근이 몸, 특히 눈에 좋은 채소로 널리 알려졌다. 그 ... ...
[표지로 읽는 과학] AI가 질병 유발 유전자
변이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9.24
예측해냈다. 알파미스센스는 프로그램의 정밀도를 90%로 설정했을 때 분석 대상 유전자
변이
중 57%는 무해하고 32%는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나머지는 영향을 확실하게 파악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알파미스센스의 해독법은 인간의 언어와 비슷하다"며 "영어 문장에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과 위생의 중요성
2023.08.22
태어남과 동시에 미생물 감염을 숙명으로 받아들여야 했다. 단세포 미생물은 수시로
변이
가 발생하면서 성질이 변하므로 병을 일으키지 않던 미생물이 감염병을 일으키는 일도 수시로 발생하기 시작했다. 때로는 사람의 면역으로 버틸 수 없는 강력한 감염병이 유행하면서 집단으로 큰 피해를 입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된 것처럼 보인다. 물론 그 반대 경우도 있어 파지 등쌀에 근근이 살아가던 박테리아에
변이
가 생겨 파지의 공격에서 벗어나 폭발적으로 늘어나면 심각한 질환으로 바뀔 수도 있다. 1917년 파지를 발견하고 박테리오파지란 이름을 지은 프랑스 미생물학자 펠릭스 데렐. 1919년 파지요법을 최초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환경 파괴가 불러온 신종 질병
2023.07.11
큰 피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에게 피해가 생긴 것도 아니지만 감염병은 언제든
변이
될 수 있으니 발생가능성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예방조치를 취해야 한다. 특히 돼지에게는 큰 피해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런데 구제역의 경우 예방백신을 접종하기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19 긴 터널의 끝자락...초라한 K방역
2023.04.04
시작되었다. 2022년 3월에는 하루 확진자가 세계 최고인 64만 명을 기록했다. 오미크론
변이
의 독성이 크게 줄어든 것이 그나마 다행이었다. 과학‧표적 방역을 내세운 새 정부에서도 상황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초대 질병관리청장은 적임자가 아니었고, 교체된 청장도 국민의 시야에서는 완전히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
변이
”라는 용어를 흔히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미생물이
변이
를 일으키는 것은 자연의 섭리이자 생존원리이기도 하다. 인류가 아무리 좋은 약을 개발한다 해도 세균은 멸종되지 않기 위해 빠져나갈 방법을 찾을 것이고, 이것이 항생제에 내성을 갖게 되는 이유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