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스페셜
"
아래
"(으)로 총 1,21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2023년 '이상 고온' 미스터리 열쇠는 '알베도'
2024.12.11
차지하고 이를 위도에 따라 보면 북반구 중위도와 열대지역(저위도)이 주로 기여했다.(
아래
) 사이언스 제공 ● 알베도 감소가 0.22℃ 상승 기여 지난 5일 학술지 '사이언스' 사이트에는 2023년 지구 온도 상승 폭에서 설명하지 못한 0.2℃의 원인을 찾았다는 논문이 올라왔다. 독일 ... ...
[과기원NOW] 포스텍, 나노 공간에서 저차원 양자물질 전자 분포 조절하는 장비 구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설립기념식을 기점으로 우리 모두가 '원팀 지스트'의 의미를 되새기며, GIST라는 이름
아래
소중한 뜻을 모아 함께 새 역사를 써 내려가자"고 당부했다. ■ 포스텍은 친환경소재대학원 배터리공학과 주관으로 18~20일까지 사흘간 ‘POSTECH 시그니처 컨퍼런스 2024’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큰 무대에 서면 몸이 얼어붙는 이유
2024.10.16
느껴진다. 뭔가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것을 성취하려는 노력 등은 꽤 인위적인 설정
아래
에서 벌어지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2021년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 원숭이도 압박감으로 인한 경직을 보인다는 흥미로운 논문이 실렸다. 스티븐 체이스 미국 카네기멜론대 바이오의공학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산 등반가들이 '비아그라'를 복용하는 이유
2024.09.29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진 헤일즈는 1733년에 최초로 말의 혈압을 측정했다.
아래
그림은 1744년에 그가 11년 전의 실험을 재현하여 그린 후 에 실은 것이다. 위키미디어 제공 그는 혈압을 측정하기 위해 암말을 눕혔다. 이 말은 어깨 부근에 상처에 의해 생긴 구멍이 있었다. 배쪽에 튀어나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에도 통하는 플라시보 효과
2024.09.04
참여해야 한다는 새로운 관점을 받아들이는 계기가 됐다. 그런데 논문에서 커즌스는
아래
와 같은 흥미로운 언급을 했다. "내 모든 경험이 그저 플라시보 효과에 불과했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만일 그렇다면 플라시보 효과가 어떤 특성을 지녔을지 면밀히 조사해야 할 것이다. 물론 이는 아주 ... ...
[표지로 읽는 과학] 뒤집어 까자 촉매 효율이 증가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1
낮아 산업에 적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산화티타늄 표면
아래
에 금속인 니켈이 위치하도록 하자 프로판이 산화티타늄과 반응할 때 안쪽에 있는 니켈이 촉진제로 작용해 프로판에서 수소를 탈착해 프로필렌을 얻는 과정을 돕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금속을 활성 부위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인구밀도가 높아지자 약 2만4000년 전부터 야생 벼의 씨앗, 즉 쌀을 채집해 먹기 시작했다(
아래
오른쪽에서 두 번째 그림으로 색 표시는 오류다(자생이므로 파란색으로 나타내야)). 그 뒤 마지막 아빙기(BA. 분홍색)를 겪으며 약 1만3000년 전부터 야생 벼를 재배했고(
아래
왼쪽에서 두 번째) 홀로세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인식해 소를 보지 못하고(가운데) 공의 어두운 부분을 별개의 대상으로 인식한다(
아래
).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제공 수술 직후 청소년들은 쏟아져 들어오는 시각 정보에 혼란스러워했고 주위 사물을 인식하지 못했다. 우리가 추상화를 보는 것처럼 색의 덩어리가 흩어져 있을 뿐 사물 사이의 경계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구 사용하는 해달, 더 큰 먹이 먹고 이빨 손상 적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9
표지로 가슴 위에 돌을 올려둔 채 물 위에 둥둥 떠있는 해달의 모습을 실었다. 표지 왼쪽
아래
에는 '강력한 도구들(POWERFUL TOOLS)'이란 문구도 보인다. 조개, 전복, 게 등을 주된 먹잇감으로 삼는 해달은 돌을 이용해 먹잇감을 사냥하고 손질한다. 해달의 이러한 방식은 먹잇감이 가진 딱딱한 껍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배경이다. 홍국균은 이차대사산물로 신장독성이 있는 곰팡이독소인 시트리닌(
아래
)을 만든다. 한편 누룩곰팡이속과 푸른곰팡이속의 몇몇 종은 강력한 신장독성이 있는 오크라톡신A(위)도 만들 수 있다. 오크라톡신A 분자의 일부(오른쪽)와 시트리닌 분자의 구조가 꽤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이번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