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스페셜
"
아래
"(으)로 총 1,21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시작이 자정이 아니라 해 뜨는 시점이고 끝이 다음날 해 뜨기 직전로 배치했다(위에서
아래
방향). 사이언스 제공 ●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조슈아 젠드론 미국 예일대 교수팀은 쌍떡잎식물의 모델인 애기장대에서 특이한 돌연변이체를 발견했다. 장일 조건에서도 잎이 제대로 자라지 않아 정상 ... ...
[표지로 읽는 과학] 어린 별의 성장을 방해하는 자외선 바람
동아사이언스
l
2024.03.03
성운의 모습을 찍었다. 사진의 오리온 성운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모습이다. 왼쪽
아래
는 성운의 일부분이며 오른쪽 위는 뜨거운 플라즈마를 품은 영역이다. 이 영역에선 거대한 별들이 원자외선(FUV)에 의해 이온화되는 모습이 포착됐다. 원자외선은 자외선 중 파장이 광선보다 훨씬 짧은 부분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위한 무균처리법과 홈즈의 방법을 비교하면 아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그의 주장은
아래
와 같다. ① 의사는 산모나 중년의 여자 환자를 대하기에 앞서 산욕열과 같은 전염성 질환의 검사에 결코 참여해서는 안 된다. (의사는 계속해서 환자들을 대해야 하니 의사를 통한 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감염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
2024.02.21
아직 상용화되지 못했다. 최근 개발된 칼슘산소배터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식이다.
아래
는 칼슘 금속으로 이뤄진 음극이고 위는 배열된 탄소나노튜브(aligned CNT) 시트 형태인 양극이고 그 사이에 여러 분자를 함유한 젤 형태의 전해질이 있다. 배터리 방전이 일어날 때 음극에서는 칼슘원자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오른쪽 흰색), 무거운 별은 중성자별(오른쪽
아래
회색)이나 블랙홀(오른쪽 맨
아래
검은색)로 생을 마친다.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질량 경계는 여전히 모른다. 위키미디어 제공 만일 수능 물리 시험에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을 구하는 식을 제시하고 태양과 지구의 값을 구하라는 문제가 나온다면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산호초로 보는 엘니뇨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24.02.04
것으로 본다.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 바누아투에서 빙하기와 간빙기를 거치며 해수면
아래
잠겨있던 산호초 군락이 발견되면서 산호초의 화학 성분을 분석해 고대부터 이어진 기후 변화를 유추할 수 있게 됐다. 산호초의 뼈대는 주변 물에서 침전된 탄산칼슘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산호초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저수지 높이차로 만드는 친환경에너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1.28
정도의 속도로 물을 펌프질할 수 있다. 전력 수요가 최고조에 이르는 낮에는 물이
아래
로 떨어지면서 터빈이 회전하고 백만 가구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1700MW(메가와트)의 전력이 생산된다. 양수발전소는 기후 위기로 더욱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학저널리스트 로버트 컨직은 사이언스 2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세균의 성장을 막는 약은 여러 가지 발견되었다. 특이한 것은 악티노마이신 D(Actinomycin D,
아래
닥티노마이신)은 1964년부터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아 난소암 일부, 고환암, 윌름스 종양, 횡문근육종 등 다양한 종류의 암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세균을 죽이는 약이 항암제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건 5골에 불과하다. 득점 12골로 공동 3위인 손흥민은 빅찬스 미스가 불과 3개로 까마득한
아래
인 공동 47위다. 황희찬도 5개에 불과해 공동 21위다. 다만 실제 득점과 기대득점의 차이가 크다고 뛰어난 공격수인 건 아니다. 기대득점 값이 작으면 아무리 결정력이 좋아도 득점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연구방법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플레밍이 포도(상)구균을 배양하던 중에
아래
층에서 배양하던 곰팡이가 운좋게 윗층으로 날아와 플레밍이 배양중인 세균의 배지로 떨어지는 일이 발생했다. 플레밍은 실험중에 사용한 배지를 버리지 않고 휴가를 가는 바람에 배지가 실험대 위에 그대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